도덕 교육에서 덕의 관점이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렇지만 덕의 관점에 기초해 있는 도덕 교육적 입장이 덕 윤리학의 고유한 특성에 바탕을 두고 제시되고 있는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왜냐하면 성품 교육, 배려의 윤리, 또는 공리주의와 칸트주의의 덕 개념에 대한 재해석을 통한 입장과 덕 윤리가 종종 혼동되어 사용되기 때문이다. 1장에서 덕 윤리의 도덕 교육적 특성을 탐구하면서, 덕 윤리의 도덕 교육적 특성과 유사하여 쉽게 혼동을 야기할 수 있는 입장을 비교 설명하였다. 그리고 2장에서 규칙 윤리(Rule Ethics) 또는 의무 윤리(Duty Ethics)와 덕 윤리, 그리고 유교 윤리의 도덕적 평가 방식을 설명하고, 이러한 평가 방식과 도덕 교육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덕 윤리에서 행위를 통한 습관화가 어떻게 유덕한 성품을 형성할 수 있는지를 해명하고, 유교 윤리에서도 유덕한 성품의 형성을 덕 윤리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설명하고 있다는 것을 덕(德)과 예(禮)의 관계를 통하여 해명하였다. 이를 통해 덕의 관점에 기초한 도덕 교육적 입장이 어떤 모습을 지녀야 하는지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In moral education, virtue approaches have been getting the interested more, but it is not obvious that whether moral educational views based on this virtue approach have the virtue ethical central features or have not, because the character education, ethics of care, or virtue-oriented redefinition in Kantian Ethics and Utilitarianism have been often confused with the virtue ethics. In chapter 1, while exploring moral educational features of virtue ethics, I will compare virtue ethical approach with other approaches which make us confused as a virtue ethical approach. In chapter 2, I will explain the pattern of moral evaluation and the moral educational relation to the pattern of moral evaluation in Duty Ethics, Virtue Ethics and Confucian Ethics . In chapter 3, I will describe the procedure by which habitation cultivate virtuous character in us through relation of De(德) and Li(禮) in Confucian Ethic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