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제정치학계에서의 에너지·환경분야 연구: 현황, 평가와 발전방향 (Retrospects and Prospects of International Relations Studies in Korea: Research Trends and Tasks of the Energy and Environment Research Fiel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한국 국제정치학에서 ‘에너지·환경’ 분야는 국제정치의 다른 분야들에 비해 비교적 최근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 국제정치학계에서 행해진 에너지·환경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여, 이 분야에서의 연구 현황을 검토 및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에너지·환경 분야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동안 에너지·환경분야에서 양적 혹은 질적으로 어떠한 연구성과들이 산출되었는지 그리고 어떠한 주제들이 주로 다루어졌는지 살펴봄으로써, 현재까지의 연구 동향을 제시하고, 에너지·환경 분야 연구의 전망과 함께 향후 과제를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그동안 축적되어온 관련 논문들에 대한 문헌 분석을 시도한다. 국제정치학의 대표 학술지인 한국국제정치학회의 『국제정치논총』을 비롯해 한국정치학회의 『한국정치학회보』, 세종연구소의 『국가전략』,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의 『국가안보와 전략』(舊국제문제연구), 일민국제관계연구원의 『국제관계연구』에 2000년부터 2016년까지 게재논문 및 에너지·환경을 주제로 다룬 국내 박사학위논문을 그 대상으로 분석한다.
영어초록
The new research field of energy and environment politics was recently started in international relations studies of Korea compared to other sub-fields.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its situation and the degree of process by analyzing the energy and environment politics papers. It is considered quantitative or qualitative research result was achieved, what kind of topic was argued and how its vision and subject present.
Therefore, this research is a critical thesis that analyze and assess the existing research comprehensively rather than positive and experiential one.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select from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 National Strategy, National Security and Strategy, and Journal of International Politics, and analyze the related papers which have been publicized from 2000 to 2016.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