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립공원 육상생태계 생태·환경적 차이에 따른 탄소저장량 특성 연구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Carbon Storage and Emissions According to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differences in the Ecosystem of Korea National Park)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3.11
13P 미리보기
국립공원 육상생태계 생태·환경적 차이에 따른 탄소저장량 특성 연구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국립공원연구지 / 14권 / 2호 / 1 ~ 13페이지
    · 저자명 : 이상진, 정해중, 명현호, 김진원, 박홍철

    초록

    본 연구는 22개 전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222개소의 고정조사구를 구축하여 탄소저장량을 평가하였으며, 해당 조사지역의 식물생태특성을 분석하여 어떠한 관계성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조사구별 조사정보를 바탕으로 식물군집구조 및 종다양성지수 등을분석하여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우선 전체 조사구에 대한 식물군락분류를 실시한 결과 총 4개의 군락으로 유형화되었으며, Ⅰ군락은 주목-구상나무군락으로 아고산대 침엽수군락으로 특징지어지며, Ⅱ군락은 고로쇠나무군락으로 계곡부 식생군락으로 특징지을 수 있었다. Ⅲ군락은참나무류-소나무군락으로 일반적인 저지대 산림식생으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Ⅳ군락은 스트로브잣나무군락으로 인공림으로 특정할 수 있었다. 유형화된 4개의 군락 중 Ⅰ, Ⅱ, Ⅲ그룹이 해발고도에 따라 구분되었으며, 낙엽층 탄소저장양이 많아짐에 따라 Ⅰ, Ⅱ, Ⅲ그룹에 해당하는조사구의 배열이 제2축을 따라 선형으로 배치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즉, Ⅰ, Ⅱ, Ⅲ그룹이 낙엽층 탄소저장량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는 것을의미한다. 토양층 탄소저장량 역시 동일한 경향성을 나타낸 반면, 수목 탄소저장량은 그룹별 경향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탄소저장량과 종다양도 관계성을 살펴본 결과, 토양권 탄소저장량과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식생권 탄소저장량과는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단, 이러한 결과는 흉고직경 6cm 이상의 교목층과 아교목층 수목에 대한 종조사 결과만 반영한 결과로서, 관목층 및 초본층 식물상 조사자료를 추가 반영하여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assess carbon storage by establishing 222 fixed survey plots in 22 national parks and analyzing the plant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areas to determine any relationships. To achieve this, we analyzed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species diversity indices based on survey information for each plot. Initially, the plant communities for the entire survey plot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Group I was characterized as the Taxus cuspidata-Abies koreana community, Group II as the Acer pictum community, Group III as the Quercus-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Group IV as the Pinus strobus community.
    Among these four types, Groups I, II, and III were distinguished by elevation, and we observed a linear arrangement along the second axis as the carbon storage in the deciduous layer increased, indicating that Groups I, II, and III could be differentiated based on carbon storage in the deciduous layer. Soil carbon storage showed a similar trend, while woody carbon storage did not exhibit a clear group-based trend. Furthermore,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bon storage and species diversity, we found a weak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il carbon storage and species diversity,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vegetation carbon storage.
    However, it's important to note that these results only reflect the finding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for trees with a diameter at breast height of 6 cm or larger and sub-canopy layer trees. Additional data collection for shrub and ground cover plant species is necessary to further develop these find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