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방 직후(1945.8~1948.7) 남한 전통음악계의 음악사회사 (The Wor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Its Social History right after the Korean Liberation (August 1945~July 1948))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2.06
29P 미리보기
해방 직후(1945.8~1948.7) 남한 전통음악계의 음악사회사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51권 / 273 ~ 301페이지
    · 저자명 : 최혜진

    초록

    음악은 사회적 측면에서 접근한다면, 사회적 제도와 상황을 표현하고 나아가 사회를 재생산한다고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해방 직후의 전통 음악에서도 나타났다. 해방 직후는 식민제국이 해체된 상황에서 기존의 사회와 음악이 변화되던 시기였다. 이러한 점에서 해방 직후의 음악은 우리의 관심을 끈다.
    식민지 해방 후 한국인은 식민시기 통제로 억눌렸던 자신들의 욕망을 분출하면서 민족국가를 건설하고자 했다. 전통음악 종사자들도 ‘해방가, 건국가’ 등의 작품을 통해 민족음악 건설의 열망을 표현했다.
    그리고 그들은 자신의 음악 장르에 따라 민속악 단체인 국악원과 아악 단체인 아악부 등을 만들었다.
    이 과정 속에서 전통음악인들은 민족음악 주체로서 자신을 재구성하고 민족음악을 건설하고자하였다.
    해방 후 전통음악 종사자들은 자신들의 정치․사회적 위상을 확보하고,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하고자다양한 활동을 했다. 그들은 해방 직후 식민권력의 해체와 함께 안정적 경제 기반을 상실했다. 그리고새로움이 추구되던 당시 상황에서 전통음악이 낡은 것으로 인식되어 전통음악인들과 그들의 음악은 공적 영역에서 주변화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그들은 방송․공연․강연․연구 등의 활동을 하며 극복하고자 했다. 그들은 자신들의 음악을 대중들에게 대중화하여 전통음악의 위상을 높이고자 했다. 이와 함께 그들은 자신들의 정치․사회적 위상과 자신의 경제적 문제도 타개하고자 했다. 이러한 속에서 전통음악인들은 그들의 음악을 민족음악으로 전통음악의 정체성을 형성하고자 했다.

    영어초록

    Music represents the society and the history which produce the music. This is tru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this in mind, this article examines the wor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its social history right after the Korean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in August 1945.
    At that time, the Korean people tried to build their own nation-state. Traditional musicians expressed their desire to build the national music. They produced musical works such as ‘Liberation Song’, ‘National-Foundation Song’ and etc. Also, in terms of their musical genre, they formed organizations such as Gukakwon(國樂院) or National Music Center in English composed of folk musicians, and Aakbu(雅樂部) or the Court Music Institute in English composed of court musicians. These activities were geared to construct traditional musicians as the principal agent of national music and to build traditional music as Gukak(國樂) meaning national music in English.
    Traditional musicians also did various activities to establish their political and social status and to resolve their economic hardship. Traditional musicians lost their economic base during the economic crisis right after the liberation. At the same time, traditional music,regarded as old or behind the times, lost its prestige to the extent that traditional musicians and their music were ousted from public spheres to the private ones. In this situation,traditional musicians did the activities such as broadcasting, performance, research, lecture,and others in order to uplift the social status of traditional music and musicians and overcome their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In line with these activities, they, calling their music as Gukak, tried to construct the identity of traditional music as national mus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1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