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발전의 기본 토대로서 문화역량 고찰: 지역혁신생태계 설계 (Review of Cultural Competence as a Basic Foundation of Regional Development)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9.04
26P 미리보기
지역발전의 기본 토대로서 문화역량 고찰: 지역혁신생태계 설계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방행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지방행정학보 / 16권 / 1호 / 277 ~ 302페이지
    · 저자명 : 정광호, 안상열

    초록

    본 논문은 지역발전의 원천이 되는 문화역량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센(Sen)과 누스바움(Nussbaum)의 역량개념을 활용하여 문화역량을 인문・과학・예술이 통합된 문화지식, 분석력・비판력을 갖춘 문화리터러시로 바라보고자 한다.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원천은 바로 문화역량에서 나온다. 새로운 아이디어나 혁신은 뛰어난 문화역량에서 비롯된다. 최근 지역혁신에 대한 담론은 문화예술 영역의 창의성을 바탕으로 창조계급과 창조도시를 중심으로 한 제4 경제섹터로 이어지고 있다. 결국 지역의 혁신생태계는 지역사회의 문화역량이 좌우할 것이다. 기존의 정치권력과 경제력 독점에서 벗어나 누구나 자유롭게 문화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제도개혁과 사회설계가 미래의 지역혁신을 결정할 것이다. 문화역량은 다양한 목소리가 존중받는 민주주의와 최소한의 사회적 정의가 구현될 때 발현된다. 헌법에 보장된 각종 기본권은 문화역량 발휘의 전제 조건이기 때문에 정부는 참여와 개방 그리고 시민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도록 해야 한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는 문화역량이 지역혁신의 근간임을 강조하면서 문화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각종 방안을 제언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key implications of cultural competence as a source of regional development. Recently discourse on the creative economy has led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quaternary economic sector based on individual autonomy and creativity, especially on culture and arts. Ideas, innovations and creativity emerge in creative groups with outstanding cultural competencies. The government has provided various cultural policies and institutional supports to enhance the cultural capacity. However, the government has neglected the promotion of active participation, openness and innovation so that everyone can improve their cultural capacity by breaking many government regulations. Furthermore, various basic human right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are the basic premises of demonstrating cultural competence, and therefore government efforts are needed for realizing thi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create democracy and social innovation that realize the minimum justice, create a social environment where individual cultural capacity is cultivated, and pursue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This study conceptualized the cultural competence as a total cultural competence by combining cultural knowledge with cultural knowledge and various literacy skills, relying on Sen’s and Nussbaum's competency concepts. Finally, emphasizing a key impact of cultural competency on regional innovation, we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o promote cultural litera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1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