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도사 금강계단 석조신장입상의 조형과 편년 (Four Guardian Sculptures at the Four Corners of Geumgang Gedan in Tongdosa)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8.03
31P 미리보기
통도사 금강계단 석조신장입상의 조형과 편년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25권 / 127 ~ 157페이지
    · 저자명 : 심영신

    초록

    이글은 양산 통도사 금강계단의 네 귀퉁이에 봉안된 석조신장입상의 도상과편년 및 그 전승에 대해 다루고 있다. 통도사 금강계단 신장상은 그간 사천왕상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이 글에서는 도상 분석에 근거하여 동북방의 상을 사천왕상으로, 나머지 3구를 금강역사상으로 보았다. 제작시기는 고려말로 추정하였다.
    이 글에서는 1705년의 『강희을유중수기』에서 언급한 ‘금강계단 사방 네 귀퉁이에 팔부가 줄지어 서 있다(四方四隅八部列立)’는 구절을 통해, 원래는 사천왕상과 금강역사상이 각각 4구씩 총 8구가 배치되어 있었다고 보았다. 현재의 모습은1705년 이후의 어느 시점에 4구가 결실되고 사천왕상 1구와 금강역사상 3구만 남게 되어 재배치된 결과로 본 것이다. 또한 18세기 중반 이후 통도사 대웅전 내부의 수계의식에서 사용되는 <팔금강도>에는 이러한 8구의 신장상이 가지고 있던불사리와 도량수호의 역할이 계승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조심스럽게 추론해 보았다.
    중국 당 도선의 『계단도경』에서는 계단의 구조를 3층으로 규정함에 비해, 통도사 금강계단이 2층으로 구성된 것은 삼국시대 이래 우리나라 금당과 탑파의 전형이었던 이중기단과 일맥상통한다고 보았다. 즉 우리나라 계단의 2층 형식은 계단상부에 놓이는 불사리의 봉안처에 대한 고대 한국인들의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해석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four stone guardian sculptures at the four corners of the Geumgang Gedan (“Diamond Platform for Buddhist Ordination”) at the Tongdosa Monastery in Yangsan, North Gyeongsang Province, Korea. In the center of the top floor of the Guemgang Gedan, there is a bell-shaped stupa.
    Beneath the top floor, there is a guardian sculpture in each of the four outer corners. In one corner, there is a Lokapala sculpture, and in three corners there is a Vajrapani sculpture. It is presumed that initially, there were four Lokapala sculptures and the four Vajrapani sculptures in the late Goryeo Dynasty (918-1392 CE) to protect the Buddha’s sarira (relic) inside the bell-shaped stupa. The number ‘eight’ matches the Eight Devas “standing side by side at the four corners of the Geumgang Gedan” as described in Ganghui Eulyu Jungsugi, (Repair Report) written in 1705.
    The current four figures seem to have been rearranged from the original eight images as the four got lost after 1705 for unknown reasons. Since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the ordination ritual has been performed inside the main hall of Tongdosa, Daeungjeon (“Great Hero Hall”). Besides, the Eight Vajrapani Paintings were put inside the Daeungjeon during the ordination ceremony. Therefore, it has been assumed that the role of the eight devas at the platform, which is to protect both the Buddha’s relic and the holy place where the ordination ritual is performed, may have been handed down to the Eight Vajrapani Paintings.
    The Diamond Platform consists of two stories similar to the platform of the Golden Halls and Stupas established mainly between the 6th and 9th centuries in Korea. Therefore, the two-storied form of the Platform can be interpreted as a reflection of the perception of ancient Koreans about the holy place where Buddha statues or Buddha’s relics were consecr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