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구자-학술지 연결망 분석을 통해 본 학술 생태계의 불평등 현상: 한국 사회학계의 사례를 중심으로 (Inequality of Academic Ecosystem through the Analysis of Researcher-Journal Network: Case of Sociology in Korea)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6.09
40P 미리보기
연구자-학술지 연결망 분석을 통해 본 학술 생태계의 불평등 현상: 한국 사회학계의 사례를 중심으로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사회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사상과 문화 / 19권 / 3호 / 319 ~ 358페이지
    · 저자명 : 김세현, 박수호, 유승호

    초록

    1980년대 이후 한국 사회과학 학술계에서는 연구 분야나 연구 주제를 중심으로 학회를 구성하면서 이들의 연구 성과를 담아내기 위한 전문 학술지들이 발행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1991년부터 시작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학술지 발행지원사업’과, 1998년 ‘학술지 등재제도’는 학술 생태계의 변화와 성장을 이끌었다. 더욱이 2014년 한국연구재단에서 발표한 ‘학술지 등재제도 개선 방안’은 사회학을 포함한 한국의 주요 학문생태계에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정책이지만 학문생태계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지 못한다는 점에서 비판 받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화된 학술 생태계의 행위 주체들 중에서 최근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학술지와 주요 저자를 중심으로 학술 생태계의 구조와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연구재단의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술지-연구자 연결망’을 구성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사회학 생태계는 소수의 연구자가 많은 연구를 수행하는 멱함수 분포를 보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한국의 사회학 생태계는 중심부와 주변부, 그리고 독립적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각 연구 영역에 따라 학문적 확장성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연구자-학술지 연결망을 중심으로 한 학술생태계가 불평등한 상태로 존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한국연구재단의 ‘학술지 등재제도 개선 방안’을 한국 사회학계에 적용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첫째, 한국 연구재단의 학문 분류가 실제 사회학 생태계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둘째, 연구 분야에 따른 확장성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학술지 등재제도 개선방안은 이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셋째 학술지 평가 도구로서 KCI 인용지수가 적절하지 않다는 점이다.

    영어초록

    The academic field of social science in South Korea has formed societies around research fields or topics since the 1980s, publishing journals to present their research findings. Of them,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started the "project of supporting journal publication" in 1991 and the "registration system for journals" in 1998, leading the changes and growth of academic ecosystem. In 2014,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nounced a "plan for the improved registration system for journals," which has been criticized for not reflecting the reality of academic ecosystem even though it is expected to have huge influences on the major academic ecosystems of South Korea including sociology.
    This study focused on the journals and main authors whose importance had been rising in recent years among the diversified agents of academic ecosystem to examine the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academic ecosystem. The study first established a "journal-researcher network" and analyzed it based on the "Korea Citation Index"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ological ecosystem of South Korea showed a power law distribution in which a small number of researchers conducted a large number of researches. Second, it consisted of the center, margin, and independent sector.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academic expandability among the different disciplines within it. This result means that the academic ecosystem centered the researcher-journal network exists in unequal conditions.
    The study also identified the following potential problems with the application of "plan for the improved registration system for journals"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o the academic field of sociology in the nation: first, the academic classification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did not reflect the actual sociological ecosystem; secondly, the improvement plan lacked in consideration for the differences in expandability among the different disciplines; and finally, the KCI was not a proper tool to assess journ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