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의에서는 독자의 읽기 활동을 복잡계 네트워크 이론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복잡계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보면, 독자가 텍스트를 읽고 표상한 정보들은 복잡성을 띠고 있는데 독자는 이들 정보들을 질서 있는 네트워크로 구성하여 복잡성을 해소하고 의미를 창발한다. 독자가 표상한 정보의 복잡성은 텍스트와 독자의 정보가 연결되어 구성된 정보 클러스터들이 질서 있는 네트워크를 이루지 못할 때 생긴다. 독자는 표상한 정보의 복잡성을 느끼면, 이를 해소하려고 노력한다. 이를 위하여 독자는 특정 클러스터를 허브 클러스터로 지정하여 다른 클러스터들을 연결한다. 이 연결은 정보 클러스터들이 특정한 관계를 갖는 네트워크를 이루도록 한다. 네트워크를 이룬 정보 클러스터들의 특정한 관계 속에서 의미가 창발된다. 독자가 창발한 의미는 어떤 클러스터를 허브 클러스터로 지정하여 네트워크로 구성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독자가 표상한 정보 클러스터들을 네트워크로 구성하여 의미를 창발한다고 보는 이 접근은 창의적 읽기를 부분적으로 설명한다. 이 복잡계 네트워크의 이론으로 읽기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많은 논의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about a trait of reader’s reading activity from a point of view in complex network system. In this viewpoint, the reader hold in the trait of a complex network system during reading a text. In reading, the reader represents all sorts of information in mind and links them to clusters. If the reader does not construct one network by linking all the cluster, then the reader fall into complexity. In holding complexity the reader make efforts to establish order information clusters, he should bring the connect factor among the clusters. So, information clusters are composed of systematic network by linking each other. At this moment, the reader can clear up a complexity and find out new meaning. This reader’s activity is called ‘emergence’. The emergence is happened when the reader links the cluster to network. The emergence meaning become different from type of network of the cluster, that the reader how to link the cluster. We must study about reading activity in viewpoint of the complex network and the complex system.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