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전기 ‘소학계’ 연구 (A Study on The 'Sohak Community'(sohakgye) and Confucian scholars concerned with it in the former term of Choseon Dynast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0.12
33P 미리보기
조선전기 ‘소학계’ 연구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주사학 / 32호 / 111 ~ 143페이지
    · 저자명 : 윤진욱

    초록

    고려 말에 원나라에서 전래된 『소학』은 조선에서는 국가 시책상 아동들의 교육서로서 중시되었다. 그러나 초기의 『소학』 교육은 관학으로만 행해졌을 뿐, 백성들의 敎化나 실천의 기능은 제대로 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본 논문은 조선전기 ‘소학계’와 그 구성원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소학』이 조선왕조의 기초수신서로 자리매김해 가는 과정을 밝혀보는 것이다. 필자는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의미를 밝힐 수 있었다. 첫째, ‘소학계’는 고려와 조선의 일반적인 契가 가지는 의미와는 달리 조선에 『소학』 교육을 정착시킨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둘째 ‘소학계’의 내용 전반은 『소학』이 실천서로서 조선에 뿌리내리는 과정을 알 수 있게 해준다는 사실이다.
    세조의 왕위찬탈이 몰고 온 반주자학적 현실정치는 유교적 질서의 파탄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사림들은 이 문제로 고뇌하였고, 결국 ‘수기치인’을 통하여 무너졌던 강상을 회복하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 나선 이들이 ‘소학계’였으며, 그 중심에 점필재 김종직과 그의 문인이자 조선의 대표적인 도학자인 한훤당 김굉필이었다. ‘소학계’의 구성원들은 대부분 점필재 김종직의 제자들로, 수기적 학문의 성향을 강하게 보인 김굉필․정여창 등의 부류와, 치인적 성향과 경세적 경향을 띤 남효온 등의 부류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그 일원은 아니었지만 함께 어울렸던 준걸재사에 정여창․박연이 포함되어 있고, 이심원 역시 ‘소학계’의 일원은 아니었다. 이러한 정황들은 이들이 같은 시기에 『소학』의 실천적인 면을 두드러지게 보여 ‘소학동자’로 불리었던 김굉필에게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조선중기에는 조광조 등 개혁적 사림들이 중앙정계에 진출하면서 『소학』의 보급이 새로운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그들은 『소학』에 성리학의 요체가 모두 갖추어져 있다고 하여 『소학』 규범의 실천으로부터 학문이 시작된다고 주장하였고, 나아가 『소학』을 통한 백성들의 교화를 도모하기에 이른다. 또한 그들이 중앙 정부에서 『소학』의 중요성을 강조할 무렵, 지방사회에서 『소학』 보급에 진력한 인물로는 김안국을 들 수 있다.
    중종 13, 14년 경에는 『소학』이 널리 보급되어 문자를 읽을 수 있는 사람이면 모두 즐겨 읽고 좋아하지 않는 자가 없게 되었다. 그러나 『소학』을 통해 새로운 기풍을 조성하려는 사림들의 노력은 훈척세력의 반발로 좌절되었다. 하지만 기묘사화 이후 중종 말년에 다시 사림학자들이 중앙정계에 진출 『소학』 보급이 이루어졌다.
    주자성리학은 여말선초의 과도기를 지나 이상과 현실이 수차례 번복되는 사화로 인해 수기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소학』의 보급을 일반화시켰고, 결과적으로 『소학』의 실천이 일상화된 나라가 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he research on the 'sohakgye' which played the important role as the background in which the 『Sohak』 became a main text to study Sung Confucianism(朱子性理學) in the former term of Choseon Dynasty.
    Sung Confucianism accepted by Anhayang and Baegijeong was the system referenced to the 『Daehak』 from Yuan Dynasty in the end of the Goryeo. However, during the early years of Choseon Dynasty, the 『Sohak』 was begun to evaluate highly by Sarim. The change made it's appearance as practical Sung Confucianism to aim the self-discipline.
    The 『Sohak』 was the teaching material which certainly it has to read before to study other confucian classic text. The early Confucianists were intrigued more 'rule over peoples(治人)' than 'self-discipline(修己)'. So, they thought that 『Daehak』 is more important than 『Sohak』.
    In Choseon Dynasty, it was adopted as the basic text of the national education policy. But this policy was a limit to supply the『Sohak』. Therefore, the scholars as Kimjongjig․Kimgoengfill accentuated the practical side of 『Sohak』.
    The accident of throne capture by king Saejo was the failure case of the Confucian morality. So the Confucian scholars worried to recover the moral consciousness. It came about the small group activity to recover the moral consciousness with the result of this distress. The 'sohakgye' is the result of these situations. The main persons of the group activity were the Kimjongjig and Kimgoengfill.
    In the middle period of Choseon Dynasty, when the reformative Confucian scholars including Jogwangjo, and etc. advanced into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the supply of 『Sohak』 was initiated from the new dimension. the Sarim including them thought that the Sung Confucianism was altogether equipped in it. In addition, they insisted that to study Confucianism was initiated from the practice of it's norm.
    Consequently, while the Sung Confucianism experienced the affairs in which the ideal and reality are reversed several times, it was certified importance of the 『Sohak』 education more deeply by the Confucian scholars. These experience was generalized to supply 『Sohak』. In this way, the Choseon Dynasty could become the country which the practice of 『Sohak』 is a routine busi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