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된 대한췌장담도학회 총담관결석 진료 가이드라인: 총담관결석의 내시경 치료 (Revi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of Korean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for Common Bile Duct Stones: Endoscopic Management of Common Bile Duct Ston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총담관결석의 치료를 위해 안전하고 효과적인 ERCP를 시행하려면 적절한 예방적 항생제의 사용은 필수이며, 출혈 관련 합병증 감소를 위해 항응고제의 중단과 출혈 위험성이 높은 환자들에게 EST 대신 EPBD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PEP 감소를 위한 적절한 췌관 스텐트의 삽입을 고려해야 하며, 담낭 담석이 동반되었을 경우 총담관결석의 치료가 끝났다면, 환자 상태를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담낭절제술을 시행해야 한다.
영어초록
For the optimal treatment of common bile duct (CBD) stones, several facts should be considered before or during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Prophylactic antibiotics is necessary for the patients with high risk of post ERCP cholangitis and cessation of anticoagulant should be considered for prevention of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post ERCP bleeding. Furthermore, endoscopic papillary balloon dilatation can be replaced with endoscopic sphincterotomy in patients with bleeding tendency such as chronic kidney disease, liver cirrhosis, thrombocytopenia etc. Prophylactic pancreatic duct stent can be helpful in reducing post ERCP pancreatitis (PEP) but caution is required as excessive attempts for selective cannulation into pancreatic duct for stent insertion can cause PEP. If gallbladder stone is present and treatment for CBD stones has been completed, prophylactic cholecystectomy should be performed selectively after consideration of patient’s condition.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