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초음파생체현미경(UBM)을 이용하여 한국 정상 성인군의 전안부 구조들의 평균 정량 분석치를 구하고, 계측치와 성별, 연령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정상 성인 114명 114안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별로 나누고 UBM을 이용하여 전안부 영상을 동일 검사자가 촬영한 후, 중심각막두께, 최대전방깊이, 전방각, 공막두께, 섬유주-홍채간거리, 전방각간거리의 항목을 정량 계측하였다. A-scan을 사용한 전방깊이와 UBM을 이용한 전방깊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 중심각막두께는 남자 495.2±29.6 μm, 여자 488.8±20.6 μm, 최대 전방깊이는 남자 2.997±0.297 mm, 여자 2.763±0.314 mm, 전방각은 남자 38.86±3.62°, 여자 36.01±3.23°, 전방각간거리는 남자가 316.2±52.4 μm, 여자가 290.9±54.4 μm이었다. 최대전방깊이, 전방각, 섬유주-홍채간거리, 전방각간거리는 남자보다 여자에서 측정값이 작았다(p<0.0001). 남녀 모두 최대전방깊이가 연령에 따라 가장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01). A-scan을 이용한 전방깊이와 UBM을 이용한 전방깊이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76 for men p=0.708 for women).
결론 : 전안부 계측치의 한국 정상 성인의 계측값을 정량적으로 도출할 수 있었고, 각종 전안부 질환의 표준이 될 수 있는 참고치로 유용하게 사용되리라 생각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