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전북지역 인문계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제이해력 테스트 결과를 변인별 빈도분석, 교차분석, 평균 및 상관분석, 분산분석, 회귀분석을 한 후 그것이 기존연구의 3가지 결론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하고 그것이 경제교육의 방향성에 주는 정책적 함의가 무엇인가를 도출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 의하면, 첫째, 전북지역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경제이해력은 기존연구 결과와는 달리 미국 평균과 전국 평균을 뛰어넘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전북지역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경제이해력 점수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변인은 경제교사 수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경제과목 선택여부, 교직경력, 지역(시·군)의 순이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가 경제교육의 방향성에 주는 정책적 함의는, 첫째, 국가적인 차원에서 감수성이 예민한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경제교육을 지금보다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지금과 같은 활자 위주의 서술식 경제교과서와 주입식 경제수업은 요즘 고등학생들의 성향에 맞도록 재구성되어야 하고, 셋째, 전문성을 갖춘 경제교사의 육성과 현재 경제과목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재교육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based on the test of economic literacy of high school students in Jeonbuk. After doing frequencies analysis, cross tabulat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the study figures out what differences are between the test result and the three conclusions of the existing tests, and finds out the reason of the differences. And it is to draw a conclusion that what implications do the differences have on politics of economic education.
First, the study shows that the economic literacy of high school students in Jeonbuk is much higher than those of the students in the U.S. and our country unlike any other results of the existing studies. That is because of the features of the students in Jeonbuk.
Secondly, the main variable affecting the literacy of the students the most is the number of teachers of economics followed by whether students choose the subject of economics, experiences of teaching profession, and area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about politics of economic education is that, first of all, over the ‘controversies on text books,’ 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the representative of businesses, is ‘wrong’ to argue that the economic education has been wrongly evolved in favor of anti-market and anti-businesses. The second one is that under the government supports, sensitive students need to receive more upgraded economic education than now. Third, the current rote-learning and descriptive education of economics should be tailored to characters of high school students. Lastly, it is urgent to retrain teachers for their expertise as well as nurture highly specialized teacher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