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총담관담석의 내시경 제거 후 총담관담석 재발의 위험 인자 (Risk Factors for Recurrent Bile Duct Stones after Endoscopic Clearance of Common Bile Duct Stones)

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09.07
6P 미리보기
총담관담석의 내시경 제거 후 총담관담석 재발의 위험 인자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소화기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소화기학회지 / 54권 / 1호 / 36 ~ 41페이지
    · 저자명 : 백유흠, 김홍주, 박정호, 박동일, 조용균, 손정일, 전우규, 김병익

    초록

    목적: 내시경 총담관담석 제거술 후에 담관담석의 재발에 관여하는 위험인자들은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이번 연구에서는 특히 담관의 해부학적인 구조 및 재발 예방을 위한 약제 투여 유무를 고려한 담관담석 재발의 위험인자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8월부터 2007년 1월까지 본원에서 내시경역행췌담관조영술(ERCP)과 내시경조임근절개술(EST)을 이용한 총담관담석 제거를 시행한 1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원위부 담관각, 원위부 담관완의 길이 및 담관담석 재발예방을 위해 투여하는 ursodeoxycholic acid (UDCA)/RowacholⓇ의 투여 유무 등을 포함하는 담관담석 재발의 위험인자들에 대한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총담관담석 재발은 22명(19.3%)의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단변량 분석에서 이상담관기종 (pneumobilia), 제1형 혹은 제2형 유두부 주위 게실, 기계 쇄석술, 2회 이상의 ERCP 시행이 총담관담석의 재발에 관여하는 의미 있는 위험인자였다. 다변량 분석에서는 제1형 유두부 주위 게실(OR 7.90, 95% CI: 1.56-40.16), 2회 이상의 ERCP 시행(OR 7.56, 95% CI: 2.21-25.87)이 총담관담석의 재발에 관여하는 의미 있는 위험인자였다. 원위부 담관각이 135도 이하일 경우와 원위부 담관완의 길이가 36 mm 이하일 경우, 총담관담석의 내시경 제거의 기술적인 난이도 및 UDCA/RowacholⓇ 처방 유무는 총담관담석 재발에 관여하는 의미 있는 위험인자는 아니었다. 결론: 제1형 유두부 주위 게실 혹은 2회 이상의 ERCP의 시행은 내시경 총담관담석 제거 후 담관담석 재발에 관여하는 의미 있는 독립 위험인자로 이러한 위험인자가 있었던 환자의 경우 추적 검사 및 조기 치료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Aims: We aimed to explore the risk factors contributing to the recurrence of common bile duct (CBD) stones after successful endoscopic stone clearance, focused on the anatomical factors of CBD and presence or absence of ursodeoxycholic acid (UDCA)/RowacholⓇ medication. Methods: One hundred fourteen patients who underwent CBD stone(s) extraction by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and endoscopic sphincterotomy at our institution from August 2004 to January 2007 were included.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for the risk factors including the distal CBD angle, length of the distal CBD arm and medication such as ursodeoxycholic acid (UDCA) and/or RowacholⓇ for recurrent CBD stone(s) were performed. Results: The recurrence of CBD stone(s) was found in 22 (19.3%) patients. On univariate analysis, presence of pneumobilia, presence of type 1 or type 2 periampullary diverticulum, mechanical lithotripsy and multiple sessions of ERCP were significant contributors for the recurrence of CBD stone(s). On multivariate analysis, the presence of type 1 periampullary diverticulum (OR 7.90, 95% CI: 1.56-40.16) and multiple sessions of ERCP (OR 7.56, 95% CI: 2.21-25.87) were significant contributors. Acute distal CBD angulation (≤135˚), shorter distal CBD arm (≤36 mm), technical difficulty of CBD stone(s) clearance, and the prescription of UDCA and/or RowacholⓇ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ecurrence of CBD stone(s). Conclusions: The recurrence of CBD stone(s) was more commonly found in the patients group with type 1 periampullary diverticulum and multiple sessions of ERCP. Therefore, patients with these risk factors should be on regular follow u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