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쌍으로 세우는 경기도 광주지역 동화제의 전승양상과 그 특징 (Transmission and Characteristics of Donghwaje in Gwangju, Gyeonggi Provinc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5.06
22P 미리보기
쌍으로 세우는 경기도 광주지역 동화제의 전승양상과 그 특징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론집 / 62권 / 245 ~ 266페이지
    · 저자명 : 김종대

    초록

    경기도 광주지역은 충청남도 청양과 함께 동화제가 활발하게 전승되는 지역이라는 점에서 일찍부터 주목받아왔다. 동화제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처럼 달집태우기와는 속성이 다르다. 동화제는 싸리나무를 이용해서 태우기 때문에 달집태우기와 달리 연기가 나지 않고 더 많은 열기를 만든다. 즉 재액을 중심으로 한 행위에서 동화제가 행해지며, 달집태우기는 연기를 많이 내기 때문에달을 끄슬리는 행위에 초점이 맞춰 있다.
    그런데 광주지역에서 전승되는 동화제의 경우 흥미로운 것은 한반도 내에서유일하게 동화를 쌍으로 세운다는 점이다. 쌍으로 세우는 것은 대개 남녀, 혹은음양으로 배치되어 조화를 꾀하려는 의도가 강하다. 이런 사정은 다른 지역의동화제와는 다른 속성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원래 광주지역은 장승제와 동화제의 전승이 활발한데, 흥미로운 것이 장승제를 지내는 지역에서는 동화제를 잘 지내지 않는다는 점이다. 다만 광지원리의경우는 예외적인데, 여기에서는 하나의 동화를 세우는 해동화놀이가 전승된다.
    즉 장승제와 광지원리의 해동화놀이는 액막이용의 기능을 명확히 보여주는 신앙이라는 점에서 지역적인 특징을 드러낸다.
    이와 달리 쌍으로 동화를 세우는 지역은 주로 무갑산 자락에 분포하고 있다.
    장승제 지역권이 주로 남한산성을 통한 경상도로 이어지는 관로 중심인데 비해서, 이들 지역은 주로 농촌이라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특히 쌍으로 동화를 세우는 지역에서는 축문을 쓴 종이깃발을 길게 늘어뜨린 특징이 있다. 즉 동화제의 자체가 하나의 마을신앙으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동화에 축문까지 작성하여 놓았다는 것은 이들 동화제의 속성이 다른 지역의 액막이용 동화와 달리 풍요로운 수확과 무사태평이라는 마을신앙의 지향점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관점에서 광주지역에서 전승되는 동화제의 다양성을 살펴볼 수 있으며, 이런 속성은 한반도에서 유일한 의미를 지닌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Donghwaje (burning a tree-pole ritual to wish for peace and well-being in villages) has long been practiced in the Gwangju area of Gyeonggi Province. Donghwaje is different from daljiptaewoogi (seasonal customs to wish good harvest in the village) in which people normally burn a sheaf of bamboo trees to predict harvest results based on the smoke coming out of the burning sheaf. With the donghwaje ritual, Korean lespedeza is used to make the burning-pole for the donghwaje ritual; Korean lespedeza creates less smoke but burns much hotter. Symbolically, the two rituals differ. Daljiptaewoogi is practiced to singe the moon with smoke, but donghwaje is more focused on fire, so people believe that it prevents calamity in the village.
    Normally, a single burning-pole is used for donghwaje. However, double burning-poles are used in Gwangju. Using two poles represents maintaining harmony or balance between men and women as well as yin and yang. This is quite a distinctive point in comparison to donghwaje practices in other regions.
    Gwangju is well known for donghwaje and jangseungje (a Korean totem pole ceremony to wish for peaceful life in the village). Both rituals are well transmitted in this area, but jangseungje is practiced in the passage between Namhansanseong (a mountain fortress) and Gyeongsang Province. Generally, each village practices either jangseungje or donghwaje but not both ritual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re is an exceptional case in Gwangjiwon Village in Gwangju. Both jangseungje and haedonghwanori (the local name for donghwaje) are practiced in the village. Both rituals are practiced to prevent calamity of the village. However,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a single burning-pole is used for haedonghwanori as the two are generally used for donghwaje in Gwangju, specifically in the agricultural fields at the foot of Moogap Mountain.
    Where double-poles are used for donghwaje, a written prayer is prepared in the form of hanging paper flags. In this area, donghwaje is considered a village belief as it shows people’s wish to have a fruitful harvest and peaceful life. It differs from other regions where the ritual is practiced as a charm against evil influence. Given these considerations, donghwaje in the Gwangju area is unique to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