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의료센터 도착 전 혈당수치 70mg/dl 미만을 보이는 저혈당환자에게 119구급대원이 포도당 투여 시 나타나는 환자 상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119구급대원이 응급의료센터 도착 전 저혈당환자에게 제공되는 포도당 처치의 적절성 및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일개 서울에 위치한 일개 대학병원에 2013년 1월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3년 동안 응급의료센터로 내원한 저혈당환자 203명의 의료기록을 분석하였다. 저혈당환자의 포도당 투여 경로는 구강을 통한 포도당 투여와 정맥로를 통한 포도당 투여로 분류하여 관찰하였고, 이에 따른 환자 회복에 미치는 결과변수로 의식수준 변화와 혈당 수치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정맥로를 통해 포도당을 투여한 경우가 의식수준 변화량(0.25±0.82점)이 상승하고 의식수준은 호전되었으며 반대로, 구강을 통한 포도당 투여는 의식수준 변화량(–0.41±0.50점) 감소와 의식수준의 악화가 관찰되었다(p<.001). 혈당수치 변화량은 정맥로를 통한 경우(128.4±81.8mg/dl) 혈당상승 나타났으며 구강을 통한 경우(14.5±22.5mg/dl)도 미세한 혈당상승을 보였다(p<.001). 결론은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하는 저혈당 환자에게 구강과 정맥로를 통한 포도당 투여가 구강 투여보다 정맥 투여가 신속한 혈당 상승 효과가 나타나 의식 회복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d patient status according to glucose infusion route by 911 paramedics on hypoglycemic patients with glucose less than 70mg/dl.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first aid treatment of 911 paramedics on hypoglycemic patients before ER arrival. Study subjects were based on 203 hypoglycemic patients who visitied one of the Seoul university hospital ER during Jan 1, 2013 – Dec 31, 2015 Data was categorized into oral and iv glucose infusioin route, and as the outcome, mental status recovery and blood sugar level change was estimated. The results suggested that glucose infusion through iv route increased mental status recovery score in the amount of 0.25±0.82, whereas oral glucose infusion showed aggravation of mental state recovery score in the amount of –0.41±0.50(p<0.001) Blood glucose level changed showed 128.4±81.8mg/dl at iv route, while oral route showed 14.5±22.5mg/dl(p<0.001). To sum up, glucose infusion through iv route before ER arrival showed positive effect on patient ER arrival state.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