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골반경하 자궁근종절제술을 시행한 9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수술방법을 간략히 소개하고 임상경과 및 술후 합병증 여부를 분석하여 골반경하 근종적출술의 임상적 안정성 및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2001년 5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20개월간 여수 전남병원 산부인과에서 골반경하 자궁 근종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93명의 외래차트와 입원기록지를 가지고 이들의 나이, 출산력, 증상, 근종의 갯수, 크기, 무게, 수술시간, 입원기간, 혈색소 감소량, 술후 합병증 등에 대해 후향적 고찰을 하였고 Microsoft Excel로 분석하였다.
결과 : 평균 연령은 42.68 (±5.37)세 였고 평균 출산력은 2.02 (±0.96)회였다. 근종의 갯수는 평균 1.70 (±1.27)개였으며 평균 무게는 71.7 (±56.4) gm이었으며 위치는 점막하 근종이 가장 많았고 수술의 적응증이 되는 증상은 과다출혈이 가장 많았다. 평균 수술시간은 101.1 (±30.2)분이었고 술후 평균 혈색소 감소량은 1.40 (±0.81) g/dL이었다. 평균 입원기간은 3.90 (±1.19)일이었다. 술중 합병증으로 투관침 부위 출혈이 2예 있었고, 피하기종이 2예 있었고, 2예에서 개복술로 전환하였다. 술후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 본원에서 골반경하 자궁 근종절제술의 적응증을 확대하여 가임기 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연령층에 적용하여 심각한 합병증 없이 많은 환자를 수술하였다. 골반경하 자궁 근종절제술을 위한 적절한 시설과 술자의 숙련된 술기가 중요하다 사료되며 앞으로 다양한 기술개발과 훈련으로 근종치료에 있어서 골반경하 자궁 근종절제술이 보다 대중화되고 효과적인 수술이 될 것을 기대하는 바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