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널조사에서 패널탈락이 특정계층에 집중되어 있다면, 초기에 구축된
샘플의 변화에 따라 패널자료의 대표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를 이용하여 신뢰성과 대표성을
저해하는 표본탈락편의(non-random attrition bias)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패널탈락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여 패널탈락을 최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패널탈락은 응답자의 문제보다
조사시스템의 문제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추가연구를 통해
체계적인 조사시스템의 구축 및 응답자 관리방법 개발뿐만 아니라
패널탈락의 편의를 보완하기 위한 가중치 부여 등 다양한 개선책의
도입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It would cause a serious problem in the panel data when panel attrition is concentrated on certain socio-economic groups. Using the GOM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re exists non-random attrition bias in the data and seeks for feasible solutions to minimize the bias. The results of logit analyses show that panel attrition in the GOMS results mainly from surveying system but not from the surveyed. Therefore, the result suggests to develop well-organized management skill and systems as well as to construct weighting method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