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鶴峯 金誠一 燕行詩의 載道的 意境 考察 (Consideration on Moral Value Intention of Yeonhaengsi(燕行詩) of Hakbong(鶴峯) Kim Seong Il(金誠一))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5.02
39P 미리보기
鶴峯 金誠一 燕行詩의 載道的 意境 考察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40권 / 231 ~ 269페이지
    · 저자명 : 이성형

    초록

    鶴峯 金誠一(1538~1593) 燕行詩의 意境은 性理學的 修養論의 문제로 귀결되는데, 漢詩를 통해 성정 도야를 기약했던 자신의 한시관에 충실한 작시태도로 판단된다. 또한 次韻詩가 적고 長篇詩가 많아서, 개인의 성정도야와 자연스러운 감정의 노정에 적절했다.
    학봉 연행시의 재도적 의경은 ‘性理學的 性情 修養의 强調’와 ‘性理學的 價値에 의한 人物 褒貶’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먼저 개인적 수양의 측면으로는 忠孝兼全을 위해 先公後私를 중시하였음을 볼 수 있다. 특히 長篇詩를 바탕으로 ‘忠孝兼全’을 지향하는 載道的 문학관에 충실한 작품 세계를 보였다. 다음으로 학봉은 스승인 退溪의 華夷觀을 계승하여 內聖外王을 통한 守在四夷를 지향했다. 학봉의 연행시에 城牆과 江河 등 경계공간에 華夷의 개념을 대입한 것은 華와 夷를 구별하여 夷狄을 辨斥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王道의 교화로 夷狄이 감화되어 城牆이 불필요한 상태를 지향했다.
    학봉은 성리학적 가치를 바탕으로 역사적 인물을 褒貶하였다. 학봉은 역사적 사실에 대하여 현상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 근본 원인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내렸는데, 그 귀결도 역시 修養의 문제였다. 또한 性理學的 歷史觀을 계승하였고, 하흠과 연계된 의무려산을 성리학적 表象으로 조성하였다.
    학봉 연행시의 문학적 의의는 우선 성리학적 가치를 바탕으로 서술적이고 논리적인 성격의 송시풍을 추구한 학봉의 한시관과 효용론이 연행시의 의경에 충실히 구현되었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학봉의 ‘朝天紀行’은 조선 후기 ‘續北征’ 같은 장편 연행시가 출현하게 된 배경을 보여주는 작품으로서 그 의의를 갖는다.

    영어초록

    Moral value intention of Yeonhaengsi(燕行詩) of Hakbong(鶴峯) Kim Seong Il(金誠一 ; 1538~1593) belongs to the issue of Confucian self-cultivation theory and is considered to be verse writing attitude faithful to his viewpoint on Chinese poetry who promises temperament cultivation through Chinese poetry. In addition, it was suitable for personal temperament cultivation and natural disclosure of emotion since it has a few poems imitating rhythms of other poems and many long poem.
    Moral value intention of Hakbong Yeonhaengsi(燕行詩) can be classified into ‘emphasis of Confucian temperament cultivation’ and ‘praise and blame of person by Confucian value’. First, in terms of personal cultivation, ‘preceding private obligation with public affairs’ was emphasized for fidelity and filial duty. In particular, he showed the works faithful to moral value view of literature pursuing ‘fidelity and filial duty’ based on long poem. Next, he pursued Sujesai(守在四夷) through a person with knowledge and virtue by inheriting the sense of Hwai(華夷觀) of Toegye(退溪) Lee Hwang(李滉), his teacher.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Hwai(華夷) to the boundary space such as growth and falling in Yeonhaengsi(燕行詩) was to oppose the foreign enemy by differentiating Chinese from foreigners. However, ultimately, he was touched by the reformation of kingship and pursued the status not requiring wall of palace.
    Hakbong(鶴峯) praised and blamed historical figure based on Confucian values. He clarified fundamental causes of the historical fact, evaluated phenomenal issue, and concluded it with the issue of cultivation. In addition, he inherited the Confucian viewpoint of history and presented Ueimuryesan mountain(醫巫閭山 ) related to Haeum(賀欽) as the Confucian symbol.
    Literary meaning of Yeonhengsi(燕行詩) of Hakbong(鶴峯) is that utility theory and viewpoint of Chinese poems of Hakbong(鶴峯) pursing the poetical style of Song dynasty which was descriptive and logic based on Confucian value were faithfully implemented in the Yeonhengsi(燕行詩). Next, ‘Jocheongiheng(朝天紀行)’ of Hakbong(鶴峯)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ed the background when long poem such as ‘Sokbukjeong(續北征)’ at the late Joseon dynasty appea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1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