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서도민요 <도화타령>의 음악사적 연구 (A Study on the Gyeonggi-Seodo popular folk song Dohwa-taryeong)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1.12
32P 미리보기
경·서도민요 &lt;도화타령&gt;의 음악사적 연구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33권 / 161 ~ 192페이지
    · 저자명 : 손인애

    초록

    본 글은 사당패 <도화타령>부터 현행 경·서도민요 <도화타령>에 이르기까지 그 특징을 면밀히 살펴, 이들 <도화타령>의 음악적 관계 및 그 역사적 변모 양상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사당패 <도화타령>부터 보면, 사설은 후렴구의 경우 구음 ‘에-허이야라 디야+어허야라 디야’, 독창은 내용 중심의 사설과 ‘도화’ 관련 핵심 사설이 결합된 구조로 되어있다. 음악적 특징을 보면, 느린 굿거리장단에 맞고, 후렴은 sol, 독창은 do'로 종지하는 경토리로 되어있다. 악곡구조는, 후렴의 경우 3소박 6박자로 된 a, 독창은 굿거리 세 장단의 b+c+d로 이루어지며, 사설내용에 따라 b를 토대로 변주, 확대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특징이 경·서도민요 <도화타령> 중 가장 오래된 음원(1910년대 초)인 박춘재, 문영수 창에도 나타나, 밀접한 음악적 관계를 짐작케 한다. 경·서도민요 <도화타령>은 20세기 전반기에 현행과 달리 크게 두 가지 유형(제1․2형)이 존재했다. 그 중 제1형은 일종의 古調로, 박춘재, 문영수 창을 통해 사당패 <도화타령>의 후렴과 독창이 그 일부로 수용되어있는 사실이 확인된다. 경․서도민요 <도화타령> 제1형은 20세기 전반 잡가집에 ‘新製桃花打令’이라 기록되어있고, 음악적으로 사당패 <도화타령>보다 더 기교적이며 양식화된 측면이 있어, 이를 근간으로 재창출된 소리로 판단된다. 그런데 1930년대 이후 보이는 제2형(新調)은 사설 및 음악 특징이 제1형(古調)과는 사뭇 다르다. 박자 및 장단만 제1형과 같고, 토리(수심가토리), 악곡구조(a+b+c의 단순 반복), 곡조 등이 완전히 다르다. 음악적으로 볼 때, 전형적인 서도 창민요 스타일로 이 유형이 현행의 <도화타령>과 연계된다. 20세기 후반 이후, 현행의 <도화타령>은 제2형과 근본적인 특징은 같지만, 소위 예술음악으로 수용되고 시대적 흐름에 맞추며, 후렴구가 첨가되고 선율이 한층 기교적이면서 경쾌하다. 그리고 전형적인 서도음악어법으로 되어있지만, 현재 다른 서도민요에 비해 경기민요 창자들도 두루 부르고 있는 대표적인 경․서도민요로 전승되고 있다. 그런데 이는 현행의 형태로 변화시킨 이가 경기소리꾼인 ‘이창배’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즉, <도화타령>은 본래 전통시대부터 사당패 및 산타령패의 주요 레퍼토리로 존재하였고, 경․서도민요 <도화타령>은 이를 토대로 재창출된 이른바 ‘신제도화타령’이라 하겠다. 이러한 장르적 전환은 사당패소리를 토대로 형성된 다른 경, 서도민요들처럼 사당패 계승집단 출신 창자들에 의해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른바 古調(제1형)는 대중들의 호응을 제대로 이끌어내지 못해 이내 도태되었다. 그리고 新調(제2형)가 곧 마련되었는데, 이 또한 예술화 또는 대중의 시대적 기호에 따라 20세기 중반을 거치며 많은 변화가 이루어졌다.

    영어초록

    There are the same named songs by Dohwa-taryeong, which was the one of the Sadangpae(the typical wandering performers’ group) and Santaryeongpae(the Sadangpae successors)’s songs as well as the Gyeonggi-Seodo popular folk songs. However, the musical relationships of them have not been clearly verified yet.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musical relationships between these songs by Dohwa-taryeong, and argues that Sadangpae’s Dohwa-taryeong is the prototype of the Gyeonggi-Seodo popular folk song Dohwa-taryeong, which was recreated as a more refined form on the basis of Sadangpae's Dohwa-taryeong in the late 19th or the very beginning 20th century. And the Gyeonggi-Seodo popular folk song Dohwa-taryeong is considered to have been made by the Sadangpae successors when they went into the theater, seeking repertoires in order to succeed in their public performances.
    This paper also explains the evolution and change of the popular folk song Dohwa-taryeong. There were two different versions of Dohwa-taryeong in the early 20th century: old and new ones. The former, which shows in the early SP recordings and text books in the 1910s and 1920s, was in a standing song’s musical way, and had much in common with Sadangpae song Dohwa-taryeong in text and tune. Whereas the latter, which composed of the Susimga tori and a typical popular folk song style, was totally different from the former in terms of text and tune. However, since the middle-late 20th century, only new version has come to be transmitted and is also being changed into a Gyeonggi musical style to meet the needs of the public and times in recent years.
    In conclusion, Dohwa-taryeong was originated from Sadangpae song, which was connected to the early Gyeonggi-Seodo popular folk song Dohwa-taryeong. However, this one had failed to change it's music in an up to date way, which appeals to public more effectively. That is why the new version of Dohwa-taryeong was formed in the 1920s and 1930s, which ended up becoming contemporary Dohwa-tarye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