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금강경」의 전달: 무한부정의 교육적 의미 (Communication of Diamond Sūtra: Educational Meaning of Infinite Negatio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5.04
26P 미리보기
「금강경」의 전달: 무한부정의 교육적 의미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도덕교육연구 / 27권 / 1호 / 189 ~ 214페이지
    · 저자명 : 김경민

    초록

    “여래는 확정되지 않는 진리를 전달한다.” 이것은 세존이 수보리에게 재차 확인하는 말이다. 불확정적 진리가 무엇인지는 설명되어야 할 문제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그러한 진리가 어떻게 전달되는지 파악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세존은 무한부정의 어법을 구사하며 확정되지 않는 진리를 전달한다. 그도 그럴 것이, 확정되지 않는 진리는 개별적 의미 요소로서, 혹은 실체적 의미요소로서 전달될 수 없다. 하지만 확정되지 않는 진리는 그것의 성격상 끝없이 전달되어야 한다. 여기서, 세존이 전달하려는 것은 반야—즉, 무분별지에서 모든 사물과 현상의 ‘참다운 모습’을 통찰하는 지혜—이며, 그것은 ‘깨달음의 마음이 일으키는 작용과 양상’을 가리킨다. 아닌 게 아니라, 세존은 분별지를 일으키는 경험적 마음이 아니라 무분별지로 표현되는 마음 그 자체를 전달하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말로써 마음—또는, 반야—을 전달하는 사태를 분석하고 교과교육과 관련하여 언어와 개념의 지위에 대하여 논의한다. 여기서, 무한부정은 마음—또는, 반야—을 개념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으로 체험하게 하는 방편으로 파악된다. 즉, 무한부정은 언어와 개념에 ‘실천’의 힘을 추동하는 특별한 전달방법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말로써 마음을 전달하는 세존의 행위, 달리 말하여 불확정적 진리를 전달하는 세존의 행위는 교과교육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요청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교사가 교과를 가르치는 행위는 비단, (객관적 대상 세계로서의)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주관적 대상 세계로서의) 마음을 전달하는 일이기도 하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교사는 교과를 불확정적 진리로 전달해야 하며 그때 비로소 교과교육은 살아있는 사유를 전달하는 역동적인 활동이 된다. 마음은 확정된 진리로 전달되는 그 무엇일 수 없다.

    영어초록

    “Buddha, the Incarnation of Truth communicates the uncertain truth.” This is the precept that Subhūti was told repeatedly by his master. The question of what is the uncertain truth must be explained. But this thesis focused on the means of communication of such truth. Buddha communicates the uncertain truth by phrasing infinite negation. Indeed, the uncertain truth can not be transferred as an individual element or a tangible element of meaning, but in its own nature, must be transferred infinitely. The very thing that Buddha tries to communicate is ‘Prajñā’, the wisdom of an insight into true nature of reality of things and phenomena, which indicates the process and the condition of bringing buddhahood into being. That is, Buddha intends to communicate not empirical knowledge or thoughts, but mind itself which is represented as undiscriminating knowledge.
    Therefore, this thesis attempts to analyze the processes or situations of communicating the mind, Prajñā, and to explain the status of the language and the concepts in relation to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In the processes of communicating, infinite negation is comprehended as an expedience for experiencing the mind, Prajñā practically, not conceptually. In other word, infinite negation is comprehended as a special means of communication which drives language and concepts into being practiced. And the Buddha’s activities of communicating mind with words, his activities of communicating the uncertain truth call up transforming the way of understanding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 teacher’s activities are not merely teaching knowledges as the world of objectivity, but also communicating mind as the world of subjectivity. In this respect, a teacher should teach subject matter as the uncertain truth and then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can be such dynamic activities as communicating living speculation. Mind is not such thing as can be communicated as a certain tru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