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19세말에서 20세기 초 우리나라의 역사적 상황 속에서 배재학당 창학의 의미 를 시대적 상황 속에서 살펴보고 역사 속 배재 인물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함을 주시경 선생을 통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제가 자행한 우리말과 우 리글의 말살과 민족의 저항에 있어 구체적인 상황을 확인하고 일제에 의해 주도면밀하 게 이루어진 조선교육령의 정체를 살펴보았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시절 우리말과 우리 글을 통해 민족혼을 살리려는 주시경 선생을 비롯한 민족의 선각자들 덕분에 일제 치하 에서도 민족어를 정립시키려는 노력은 지속적으로 이어졌으며, 우리말과 우리글의 운명 이 절박한 상황에 놓여 있을 때 한글 보급 운동을 통한 민족성 고취와 문맹 퇴치가 꾸준 하게 이루어졌다.
또한, 근대교육과 학교 제도의 설립의 과정에 대해 언급하면서 배재학당의 역사적 의의를 언급하고 배재학당 출신 인물인 주시경 선생에 대해 살펴보았다. 주시경 선생은 국어의 개념을 확립하고 지속적으로 국어를 연구한 유일한 학자였고 선생의 연구에서 언어적 근대의 중요한 시사점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주시경 선생의 이러한 국어관 형 성이 배재학당에서의 수학 시절과 결코 문관하지 않다는 점을 밝혔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features and value about the PaiChai School and Ju, Si-Gyeong. PaiChai School was representation of modern education in enlightenment season, and Ju, Si-Gyeong was the initiator and leader of the standardization movement of the Korean language and orthography systems. Ju, Si-Gyeong graduated in PaiChai School. Also His original ideas and various works set out in PaiChai School. Ju, Si-Gyeong was made most impressive in his scholarly attainments is his creative efforts was completed in PaiChai School.
Ju, Si-Gyeong was the scholar who established a certain theoretical system about the Korean grammar in the PaiChai School learning period. This is a PaiChai`s pride in nowaday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