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판본의 異文을 통해 본 〈佛說大報父母恩重經〉의 문헌학적 특징–龍珠寺 판본을 중심으로– (A Philological Study of the Bulseol-daebo-bumo-eunjung-gyeong(佛說大報父母恩重經) through the Different Chinese Characters(異文) in Woodcut Prints–Focusing on Yongjusa(龍珠寺) Woodcut Prints–)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1.02
42P 미리보기
판본의 異文을 통해 본 〈佛說大報父母恩重經〉의 문헌학적 특징–龍珠寺 판본을 중심으로–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58권 / 261 ~ 302페이지
    · 저자명 : 김기엽

    초록

    〈佛說大報父母恩重經〉은 孝의 당위성을 내세움으로써 儒家로부터 거부감을 줄이고, 부모에 대한 報恩을 주제로 하여 사대부와 서민들로부터 많은 호응을 얻었던 경전이다. 판본별 偈頌의 異文에서 무오본은 화암사 계통과, 구마라습역본은 합부본 계통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며, 언해본은 한문 원문과 한글 번역이 상응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정조대에 용주사에서 간행한 판본은 科判 2판, 變相圖 7판(14圖), 한문 經文 22판, 諺解 49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언해본의 번역은 원문의 의미를 충실히 반영하여 기존 한문ㆍ한글 번역의 불일치 양상이 대폭 교정되었으며, 雙行의 한글 주석으로 불교 어휘를 풀이하여 불자가 아닌 이도 뜻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경문 전체의 원문 검토에서 기존 판본의 오탈자가 대폭 수정되고 文語에 가까운 투식을 갖추었으며 불분명했던 의미들이 보다 명확해졌음이 드러났다. 용주사본은 科判이 편입되고 經文에 주석이 추가되어 주해서의 성격도 갖추었다. 유교적 관점에서 부처를 높이는 표현이 삭제되었던 용주사본은 전통적 불경 주해 문헌의 ‘科判’이라는 양식을 계승함으로써 불교적 정체성을 존속할 수 있게 된다.
    정조가 지은 偈와 이에 갱재한 蔡濟恭ㆍ徐瀅修의 「恩重經偈」를 분석하여 정조가 〈佛說大報父母恩重經〉을 간행하고 용주사에 봉안한 것이 생부 사도세자의 명복 축원과 관련이 있으며, 부모 은혜의 중함을 세상에 알리고 풍속을 교화하는 데 목적이 있음을 살폈다. 또한 문집과 실록의 내용을 근거로 조선 유학자들의 〈부모은중경〉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효와 보은 사상에서 비롯하였으며, 용주사에 전하는 석판본은 黃運祚라는 인물이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Bulseol-daebo-bumo-eunjung-gyeong(佛說大報父母恩重經) is a scripture that reduced resistance from Confucianism(儒家) by claiming legitimacy of the House of Yi(孝) and was well-received by scholar-officials and commoners for its theme of repaying parents(報恩). Looking through the different Chinese characters(異文) of Gesong(偈頌) by each woodcut print showed that Muo-bon has similarities to the Hwaamasa line, and Gumaraseup-bon(鳩摩羅什本) also has similarities with Hapbu-bon line. In many cases, the original Chinese text and the Korean translation did not correspond to Unhae-bon(諺解本). Woodcut prints published at Yongjusa(龍珠寺)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正祖代), contain 2 pieces of Gwa-pan(科判), 7 pieces of Byeonsang-do(變相圖), 22 pieces of the sutras(經文) in Chinese, and 49 pieces of Unhae(諺解). For the translation of Unhae-bon, the discrepancy between the existing Chinese and Korean translations has been significantly corrected as it faithfully reflects the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It interprets the Buddhist terms with the two-line(雙行) Korean annotations so that non-Buddhists can understand the meaning.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original text of the entire sutra, it was shown that the typos seen in the existing edition have been greatly modified and have a format close to a literary language(文語). The ambiguous meanings also became clearer. Yongjusa-bon also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entary(注解書) as Gwa-pan(科判) was included and the annotations were added to the sutra(經文). Yongjusa-bon, in which the expression of honoring the Buddha from a Confucian perspective was deleted, can retain its Buddhist identity through the style of “Gwa-pan(科判)” shown in the commentaries(注解) on Buddhist scriptures. By analyzing ‘Ge(偈)’ written by King Jeongjo(正祖) and “Eun-jung-gyeong-ge”, in which Chae-jegong(蔡濟恭)ㆍSeo Hyung-Soo(徐瀅修) responded(賡載) to it, I examined that King Jeongjo published 『Bulseol-daebo- bumo-eunjung-gyeong』 and enshrined it at Yongjusa in order to pray for Crown Prince Sado, the birth father of King Jeongjo, to inform the importance of parental grace to the world, and to cultivate traditions. Also,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collections and the annals, it is assumed that the positive perception of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toward Bumo-eunjung-gyeong originated from the idea of hyo(孝, filial piety) and boeun(報恩, returning thanks), and the lithograph at Yongjusa would be related to Hwang Woon-jo(黃運祚).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