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 後期 浮休門中의 佛事와 義謙派 佛畫 - 順天 松廣寺 佛畫 造成 佛事를 중심으로 - (Collaboration Between the Buhyu Monk Clan and the Uigyeom School of Monk Artis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ddhist Paintings for Songgwangsa Temple in Suncheon)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0.12
22P 미리보기
朝鮮 後期 浮休門中의 佛事와 義謙派 佛畫 - 順天 松廣寺 佛畫 造成 佛事를 중심으로 -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중앙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미술자료 / 98호 / 154 ~ 175페이지
    · 저자명 : 김다영

    초록

    조선 후기 불화 조성 佛事는 畫僧과 僧侶 門中의 유기적 관계 속 협업으로 진행되었다. 불사에서 승려 문중은 사상을 담기 위하여 주제와 도상을 선택하였고, 화승과 화파는 이를 시각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렇기에 조선 후기 불화의 이해를 위해서는 작가인 화승 및 그의 양식적 특징뿐만 아니라 조성 당시 사찰의 상황, 불사의 참여자 등을 파악하여, 조성 배경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방법론을 통해 호남 및 인근 지역에서 부휴문중과 불사를 함께 진행했던 18세기 대표 화승 義謙을 중심으로 한 의겸파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의겸파는 부휴문중의 宗刹인 순천 송광사에서 1724년부터 1725년까지 2년간 진행된 불화 조성 불사에 참여하였다. 본 불사를 앞서 언급한 다각적 접근법을 통해 해석한 결과, 송광사 불화 조성 불사에 부휴문중의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송광사 불화 조성 불사를 기점으로, 의겸파는 계속해서 호남, 호서, 영남 지역 등 부휴문중 영향권 내의 사찰과 그들이 주도한 불사에 활발하게 참여하며 부휴문중 사상 시각화에 주요 역할을 하였다. 그 결과 의겸은 부휴문중으로부터 ‘毫仙’, ‘尊宿’, ‘大正經’ 등의 화승으로서는 이례적인 존칭까지 부여받았으며, 그의 화풍은 三南 지역에 널리 퍼지게 되었다.
    이처럼 순천 송광사 불화 조성 불사는 부휴문중이 의겸파와 협업하여 문중의 사상을 시각화한 대표 사례이며, 의겸파에게 인맥적, 지역적 기반을 제공하여 의겸이 조선 후기 대표 화승의 위상에 오를 수 있도록 일조하였다. 의겸의 이와 같은 위상과 그가 남긴 작품들은 이후의 조선 후기 불화에도 지대한 영향을 주었기에, 순천 송광사의 불화 조성 불사는 미술사적으로 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Most Korean Buddhist painting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were produced through collaborative projects (bulsa) between clans of Buddhist monks and monk artists (hwaseung), in which the monk clans would select themes and iconography for works that would then be produced by the artists and their school. Thus, any attempt to understand the Buddhist paintings of this period must consider not only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monk artists, but also the conditions at the respective temple at the time of production. Applying this methodology, this paper examines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Buhyu monk clan and the monk artist Uigyeom and his fellow artists (hereinafter, the “Uigyeom School”) that took place in Honam (湖南) and surrounding areas in the eighteenth century. In particular, the paper reveals the strong influence that the Buhyu clan exerted on paintings that the Uigyeom School produced in 1724 and 1725 at Songgwangsa Temple, the clan’s main temple.
    Following the paintings for Songgwangsa Temple, the Uigyeom School actively participated in similar projects at regional temples under the auspices of the Buhyu clan in Honam, Hoseo (湖西), and Yeongnam (嶺南). Consequently, the Buhyu clan granted Uigyeom several honorable titles—including “Hoseon” (毫仙), “Jonsuk” (尊宿), and “Daejeonggyeong” (大正經)—that were rarely conferred to a monk artist. Such acclaim helped Uigyeom’s style of Buddhist painting to become widespread throughout the three southern provinces of Korea.
    The paintings for Songgwangsa Temple exemplify how the Buhyu clan and Uigyeom School collaborated to visualize the thoughts and philosophies of the Buhyu clan. For the Uigyeom School, this project served as the foundation for building the reputation and esteem of Uigyeom, who became one of the most esteemed and influential monk artists of the late Joseon period. As such, the paintings created for Songgwangsa Temple in 1724 and 1725 have great significance not only for Korean Buddhism, but also for art history in gener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자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1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