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행기관 : 대한골절학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Musculoskeletal Trauma / 26권 / 1호 / 77 ~ 80페이지
· 저자명 : 김종민, 박병문, 이상호, 전승주, 신준범, 송경섭
초록
근위 비골의 견열 골절은 무릎이 신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내측으로 직접적인 외상을 받았을 때 발생하며 후외측 구조물의 손상을 흔히 야기한다. 이에 다양한 수술적 방법들이 고려되고 있으나 외측 측부 인대의 견열 골절과 함께 비골 두의 심한 분쇄 골절이 동반되어 있을 경우 골절편을 제 위치에 고정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쉬운 일이 아니며, 이 부위의 고정이 효과적으로 되지 않을 경우 추후 후외측 불안정성 등의 다양한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근위 비골의 분쇄 견열 골절과 외측 측부 인대 손상이 발생한 2예에서 갈고리형 잠김 압박 금속판과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안정성을 얻은 바 이 술기를 소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Anteromedial force to the knee in an extended position can cause an avulsion fracture of the proximal fibula with combined injuries to the posterolateral ligaments. Avulsion fractures of the proximal fibula are rare and current management of these fractures is based on few descriptions in literature. Various surgical methods of fixation for these fractures have been reported, but there is still no standard treatment modality. Anatomic reduction of these fractures is technically difficult, and failure of reduction may cause posterolateral instability, secondary arthritis and other complications. We present our experience with two such cases of comminuted avulsion fractures of the proximal fibular with posterolateral ligament ruptures surgically fixated with a locking compression hook plate and non absorbable suture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Musculoskeletal Trauma”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