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조손가정의 격대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조손가정 영유아 지도에 대한 교사의 어려움, 격대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격대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연구문제로 설정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전라남도의 9개소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 등 1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조손가정의 영유아에 대한 기본생활습관 지도,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낮은 점, 조부모와의 상담에 대한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격대교육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으나 면담 중 점차 격대교육의 가치를 인지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격대교육의 활성화 방안으로 격대교육의 용어 사용하기, 조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조부모를 이해하기 위한 교사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searching that awareness of child care teachers about grandparent-headed families' alternate-generation education. The topics for this study are the teachers' difficulty of teaching grandparent-headed families' children, the awareness of teachers' alternate-generation education, and activation methods of alternate-generation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interview were 18 directors and teachers of 9 child education institution in Jeollanam-d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have difficulty of grandparent-headed families about teaching children of daily life's habits, children's low self-esteem, and interviewing with grandparents. Second, teachers were lacked that awareness of alternate-generation education at first, but they become aware of alternate-generation education's value while research interview. At last, It need methods to activation of alternate-generation education that usage words of alternate-generation education, development of programs for grandparents' children education ability, and education to teachers for understanding grandparent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