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특수학급 교과 수업에 만화그림중재 전략을 적용한 수업실행 과정에서 얻게 된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 (Practical knowledge of a special education teacher acquired in the process of using Comic Strip Conversations strategy in the middle school special classes subject class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특수학급 교과 수업에 만화그림중재(Comic Strip Conversations) 전략을 적용한 수업실행의 과정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얻게 된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자가 연구도구로 참여하는 실천적 실행연구 방법에 근거하여 수행하였으며, 순환 반복 주기는 연구 초기, 중기, 후기이다. 연구 기간은 2020년 3월부터 10월까지 8개월이며, 참여자는 연구자가 담임하고 있는 발달장애 6명 학생이다. 수업의 형태는 온라인 수업과 교실수업을 병행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으로 이루어졌다. 수집한 질적자료(성찰일지, 수업일지, 학생 면담전사 자료와 수업 결과물 등)를 분석한 결과 2개의 범주와 9개의 주제를 찾을 수 있었다. 연구결과; 첫째, 만화그림중재전략을 교과 수업에 적용하기 위해서 장애 유형과 시지각 처리 능력, 시각적 지원 요구 정도에 따른 적용단계를 개발하여 지도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또한, 특수교육대상학생에게 어렵고 복잡한 내용을 쉽게 전달하고 이해를 도울 수 있으며, 학교생활이나 일상에서 마주하는 상황 속에서 대처해야 하는 사회적 행동을 습득에 유용하였다. 둘째, 특수교사의 촘촘한 원격수업 설계는 자기 장학의 기회가 될 수 있었다. 특수교육에서 원격수업은 학생 상황과 특성에 맞게 수업 방법을 다양하게 적용해야 하며, 온라인 공간에서 협업이 가능한 수업 도구를 활용하여 또래 학습과 활동 중심의 수업 설계가 필요하였다.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와의 수업나눔 활동은 일반교사가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이해하는 수단이 될 수 있으므로, 교원학습공동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actical knowledge acquired by a special education teacher by applying Comic Strip Conversations to special classes in middle school.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action research method, and the cycle consisted of three stages (initial, mid, and late). A 8-month study period was from March to October in 2020. The participants are six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the researcher was in charge of. The form of the class consisted of blended learn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qualitative data 2 categories and 9 topics were found. Result; First, it was effective to develop and guide the application steps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bility, visual perception processing ability, and the request for visual perception support degree in order to apply the comic conversation strategy to the subject classes. In addition, the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could easily communicate and understand difficult and complex contents. It was useful in acquiring social behaviors that should be dealt with in school life or daily life. Second, the distance learnig carefully design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can be an opportunity for self-scholarship. In special education, online classes must applied to various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student's circumstances and characteristics. It was necessary to design classes centered on peer learning and activities by using teaching tools that can collaborate in online spaces. In addition, sharing class activities between special teacher and general teachers could make the teachers understand th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ctively utilize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limitations and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