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진로이행기 청년의 ‘나답게 살아가기’ - 전이경험으로서의 위기와 그 이후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To Live as Who I Am’ for Korean Young Adults in Occupational Transition - A Narrative Inquiry on Crisis as a Liminal Experience and Thereafter -)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0.09
38P 미리보기
진로이행기 청년의 ‘나답게 살아가기’ - 전이경험으로서의 위기와 그 이후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수록지 정보 : 유라시아연구 / 17권 / 3호 / 129 ~ 166페이지
    · 저자명 : 이지혜, 이선혜

    초록

    한국 사회에서 청년의 고용과 실업 이슈가 급격히 주목받게 되면서 사회 각계에서 청년들의 삶의 현실을 조명하는 담론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각 담론은 관점과 초점에 차이가 있으나 청년들의 모 습을 무기력하고 수동적으로 묘사하는 공통점이 있으며, 이 과정에서 당사자인 청년은 점점 타자화되는 경향이 있다. 최근에는 청년의 정신건강이 또 하나의 담론 주제로 추가되고 있는데, 진로이행기 청년들 이 심리정서적 위기로 인해 정체되는 듯한 현상이 관찰되기 때문이다. 이는 청년의 삶의 경험을 정신병 리 관점에서 설명하는 방식이 확산될 여지도 주는 것이기 때문에 우려스럽다. 진로이행기 청년들이 이 시기에 겪는 심리정서적 위기 대처를 효과적으로 지원을 위해서는 이들의 경험에 대한 보다 다면적이고 심층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진로이행기를 살 고 있는 청년들이 경험하는 심리정서적 위기와 그 의미를 그들의 목소리로 조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전 과정은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 방법과 절차에 따 라 진행되었다. 먼저 의도적 표집방법에 의해 심리정서적 위기를 경험하면서 약물 및 심리상담 서비스를 받은 20, 30대 미혼 청년 4명을 모집하였다. 이어서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진로이행기 동안 위기가 도 래한 과정과 그 이후의 경험에 대해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심층면접에서 수집한 자료는 전사하였으며 그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텍스트를 이야기하기(telling)와 다시이야기하기(retelling)의 두 단계로 재구성하였다. 전자 단계는 참여자 각각의 개인내러티브로 이루어지며, 후자 단계는 네 편의 개인내러티브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되는 주제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이야기하기(telling)에서는 참여자들은 위기 전후 과정의 경험을 각각 ‘내 힘으로 내 인생을 살 때’, ‘나답게 살아가는 법’, ‘우회로 찾기’, ‘또 다른 도전’의 내러티브로 구성하였다. 다시이야기하기 (retelling) 단계에서는 이들의 내러티브 가운데 공통적으로 관찰되는 15개 주제들을 파악하여 일, 관계, 일상, 실천영역으로 범주화하고 그 의미를 조망하였다. 이 과정에서 참여자의 내러티브에는 세대 담론이 나 결핍 담론에서 그려지는 수동적 이미지만이 아니라 진로이행기 과정에서 심리적, 정신적 와해 경험 이후 삶에서 어려움은 계속 존재하지만 역동적이고 주체적으로 나다움을 구성해 나감으로써 생존은 미 학이며 급진적 실천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선호하는 삶을 위해 불안정함을 기꺼이 선택하면서도 자기 배 려의 기술을 실천해가는 주체의 모습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 이행기 청년의 심리정서 지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 째, 위기 청년에 대한 심리정서 지원에 있어 내적 원인 파악이나 증상 교정에 과도한 초점을 두는 관행 은 당사자 어려움의 사회경제적 맥락 그리고 당사자 주도성과 선택의 흔적을 간과할 위험이 있다. 따라 서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구조주의 패러다임에 기초한 최근의 상담모델들을 활용하여 문제의 맥락화, 위기경험을 자기 자신과 삶에 대한 지식과 기술의 획득기회로 전환하는 시도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청년들에게 심리정서 지원을 제공할 정신건강 상담인력의 선정 기준에 대한 면밀한 재검토가 요구된다. 사회적 책무성과 다양한 청년 상황에 대한 민감성 증진을 위한 콘텐츠가 상담인력의 재보수 교육에 반 드시 포함될 필요가 있다. 셋째, 청년들을 청년복지의 수동적 이용자가 아닌 능동적 주체가 될 수 있는 기반이 필요하다. 청년 당사자의 고유한 목소리가 정책과 실천 장면의 피드백 고리 속에 포함되는 소통 메커니즘의 수립과 활성화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Bleak job prospects for young Korean adults have been the focus of Korean society in the last few decades. Multiple discourses have attempted to illustrate the harsh realities experienced by young adults and in spite of the differences in perspectives and foci, an overwhelming number of discourses portray these young adults as passive and helpless. Recently, the theme of mental health is being added to the discourses in recognition that many young adults seem to remain static after experiencing psychological crisis, which is concerning as it can contribute to an increased pathologizing of the young adults and their lives. A multi-faced in-depth understanding of their crisis experience is crucial to any effort to better assist them to cope with the psychological trauma obtained during this transition. This study thus aims to illustrate in the voice of young adults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at these young adults are experiencing during occupational transition and their meanings within the Korean sociocultural context.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guided by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Clandinin and Connelly, 2000). The authors utilized purposeful sampling method and recruited four unmarried young adults in their 20s and 30s who have gone through psychological crisis and had received pharmacological and/or psychological treatment.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ach study participants regard- ing their experience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crisis. The interview data were constructed into two parts of research texts: telling and retelling.
    The ‘telling’ part shows personal narratives of the participants, titled as ‘time to live on my own’, ‘my own way of living’, ‘searching for the detour’, and ‘another challenge’. The ‘retelling’ part identifies 15 common threads out of the personal narratives, categorizes them into work, relationships, daily life, and praxis, and highlights their meanings. The personal narratives confirmed the passive images of young adults in transition that are reflected in popular discourses on generation gap and personal deficit; at the same time, they shed light on the attempts of young adults who are determined to practice self-care to go one step further toward their preferred life.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the authors recommended the followings in the conclusion. First, the traditional emphasis on identifying intrapsychic factors and/or attempts to correct symptoms could pose a risk of overlooking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difficulties young adults in transition are experienc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counselors to utilize alternative counseling models with post- modern and poststructuralist ideas in order to contextualize the client problem and facilitate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client’s experience of crisis into one of acquiring knowledge and skills for themselves and their life. Second, authorities need to take a close look at the qualifications of the providers who are assigned for mental health counseling as being part of the job training/unemployment programs in the public sector. A continuing education should be made available to these providers to help them enhance the sense of social accountability and sensitivity to diverse life circumstances of their clients. Third, young adults need a platform on which they can act as active agents rather than passive users regarding their welfare. The role of communication mechanisms to include voices of young adults as stakeholders and feed them back to the scene of public policy and practice is essenti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