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땅의 유익은 모두에게 있는 것, 왕은 경작지에 대해서[만] 섬김을 받을 뿐!”(전 5:8[한, 9]): 전도서를 통해서 보는 기본소득에 대한 고찰 (“Ein Gewinn der Erde bei Allem [sind], Ein König wird [nur] in Bezug auf das bebaute Land!”(Koh 5:8): Theologische Grundlagen des bedingungslosen Grundeinkommens im Buch Kohelet)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3.03
26P 미리보기
“땅의 유익은 모두에게 있는 것, 왕은 경작지에 대해서[만] 섬김을 받을 뿐!”(전 5:8[한, 9]): 전도서를 통해서 보는 기본소득에 대한 고찰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약학회
    · 수록지 정보 : 구약논단 / 29권 / 1호 / 366 ~ 391페이지
    · 저자명 : 구자용

    초록

    이 연구는 신학이 무조건적인 기본 소득에 대한 논의에 포함될 수 있고 포함되어야 한다는 의무감에 바탕을 두고 시작한다. 다양한 신학 분야의 많은 학자들이 이미 같은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구약학도 예외는 아니다. 이 논문은 특히 전도서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그것은 무조건적인 기본소득이 구약성서의 다른 분야보다 이곳에서 덜 논의되었기 때문이다. 전도서는 피상적으로 드러나는 바와는 달리 경제적 서술을 상당히 심도 있게 묘사하고 있다. 전도자는 인간의 삶을 관찰하고 그것을 주의 깊게 관찰한 후, 적절한 교훈을 준다. 이 논문은 5장 8절과 18절의 본문 분석을 통해 '땅의 유익'과 '몫'의 개념을 밝혀내려고 한다. 그것들은 전도서의 주요 개념들에 속한다.  5장 8절의 진술에 따르면 모든 사람이 땅(에레츠)의 유익을 얻을 수 있는 반면, 왕은 많은 노동자들의 노력이 필요한 경작되는 땅(싸데)에 대해서만 실제적 권리를 지닌다. 사실 둘 모두 노동을 필요로 하지만, 첫 번째 서술은 경제 시스템의 체계와 경계에 국한되지 않는다. 비록 전도자가 5장 7절에 묘사된 왕의 통치 하에 있는 감시 시스템에 대한 불신을 명확하게 표현하지는 않지만, 그것은 확실히 일종의 아이러니인 것으로 보인다. 아이러니는 비판의 의도가 인식된 때 비로소 그 비판적 기능이 강해진다. 게다가, 5절 18절의 서술된 '큰 부'는 모든 사람에게 하나님이 선물로 주신 것인데, 그것은 사유 재산을 의미하기 보다는 오히려 모든 사람이 얻고 즐길 수 있는 사용권에 대한 허가이다. 이것은 선행하는 본문에서 명확히 확인된다. 사람은 모두에게 허용된 '몫'을 통해 진정한 행복을 누릴 수 있다. 그것이 행복의 토대가 될 수 있다면, 5장 8절과 18절의 ‘땅의 유익’과 ‘몫’은 무조건적인 기본 소득의 토대가 될 수 있다. 이 두 가지 개념에 하나님이 모든 사람에게 베풀과 즐기도록 한 땅에 대한 향유권이 암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전도자 주장하는 것처럼 무조건적인 기본소득의 개념은 전도서에 분명히 담겨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오늘날 교회와 기독교인들은 무조건적인 기본 소득에 대한 논의를 성서의 관점에서 재고하고 지지해야 한다. 이것이 이 논문의 첫 번째 목표이며 주요 사용 가치이다.

    영어초록

    Diese Studie geht von einem Gefühl der Verpflichtung aus, dass Theologie in die Diskussion über das bedingungslose Grundeinkommen einbezogen werden kann und sollte. Viele Wissenschaftlerinnen und Wissenschaftler aus verschiedenen theologischen Fächern sind bereits aktiv an derselben Diskussion beteiligt. Die alttestamentliche Wissenschaft ist dabei keine Ausnahme. Dieser Aufsatz beschäftigt sich vor allem intensiv mit dem Buch Kohelet, weil hier das bedingungslose Grundeinkommen noch weniger als in anderen Bereichen im AT zur Diskussion gestanden hat. Das Buch Kohelet beschreibt die ökonomischen Vorstellungen äußerst tiefgreifend - im Gegensatz zur oberflächlichen Erscheinung. Kohelet beobachtet das menschliche Leben und betrachtet es sorgfältig, danach lehrt er entsprechende Vorschriften. Dieser Aufsatz versucht durch eine Textanalyse in 5,8 und 18, die Begriffe von „Gewinn der Erde“ und „Anteil“ aufzudecken, die als Geschenk Gottes an den Menschen bezeichnet werden. Sie gehören zu den Schlüsselkonzepten des Buches Kohelet. In 5,8 wird der Gewinn der Erde allen Menschen gewährt, während der König nur ein Recht auf das bebaute Land hat, was die Bemühung vieler Arbeiter voraussetzt. In der Tat bedürfen beide Konzepte einer bestimmten Arbeit, aber Ersteres wird nicht auf den Rahmen und die Grenzen des Wirtschaftssystems beschränkt. Obwohl die Beschreibung von 5,7 nicht explizit das Misstrauen gegenüber dem Überwachungssystem unter der Herrschaft des Königs ausdrückt, scheint sie tatsächlich eine Art von Ironie zu sein. Ironie wird erst dann intensivert, wenn die Absicht der Kritik erkannt wird. Ferner spricht der „große Reichtum“ in 5,18, der jedem als Geschenk Gottes gegeben wird, nicht nur von Privateigentum, sondern von einer Erlaubnis für die Nutzung, die jeder erhalten und genießen kann. Dies wird durch den vorangehenden Text bestätigt. Durch den „Anteil“, der für alle erlaubt ist, kann man das wahre Glück genießen. Wenn er allen gegeben wird, um die Grundlage des Glücks zu werden, dann können der Gewinn und der Anteil des Landes, wie sie in 5,8 und 18 behandelt werden, die Grundlage des bedingungslosen Grundeinkommens sein. Diese beiden Konzepte implizieren das Recht, das Land zu genießen, das Gott allen Menschen gegeben und sie dazu berechtigt hat. Man kann also behaupten, dass der Begriff des bedingungslosen Grundeinkommens, wie uns Kohelet sagt, im Buch Kohelet eindeutig verankert ist. Daher müssen die Kirche und die Christen von heute die Diskussion über das bedingungslose Grundeinkommen aus biblischer Sicht neu überdenken und unterstützen. Das ist das erste Ziel und der primäre Nutzen dieses Aufsatz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