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광주의 죽은 자들의 부활을 어떻게 쓸 것인가?—고정희의 제3세계 휴머니즘 수용과 민중시의 재구성 ⑴ (How to write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in Gwangju?–Go Jung-Hee’s Acceptance of Third World Humanism and Reorganization of Min-Jung Poetry ⑴)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9.12
38P 미리보기
광주의 죽은 자들의 부활을 어떻게 쓸 것인가?—고정희의 제3세계 휴머니즘 수용과 민중시의 재구성 ⑴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48호 / 323 ~ 360페이지
    · 저자명 : 정혜진

    초록

    이 글은 고정희의 문학과 운동, 특히 인간해방과의 관련 하에 논의되는 여성해방의 전망을 제2물결 페미니즘의 성과와 한계로 한정하는 것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이러한 의문을 고정희의 문학·삶의 궤적에서 보이는 제3세계 시각의 수용 및 민중시에 대한 문제의식에 주목함으로써 풀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우선적으로 고정희 문학의 초기 시기에 집중한다.
    이 글의 2장에서는 1970~80년대 초중반 한국에서 제3세계 휴머니즘의 수용 맥락과 인간해방 전망의 전개를 고찰한다. 고정희가 참조한 파울로 프레이리의 인간화 개념은 남미 해방신학이 맑스주의를 받아들였던 것과 달리 1970년대 한국의 에큐메니컬 운동이 맑스주의를 적극 수용할 수 없었던 상황에서 맑스주의가 탈각된 실존주의적 휴머니즘으로 한국에 정착했다. 이는 당대 제2물결 페미니즘과 함께 프레이리의 탈식민 해방이론 및 제3세계 페미니즘을 수용한 여성의 인간화 운동이 제2물결의 의제를 상대화하면서 한국 여성들의 하위주체적 현실에 대한 분석을 진척시키지 못했던 배경이기도 했다. 그러나 고정희는 인간화 운동이 민중운동과 거리를 두고 ‘중간집단’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것에서 나아가 그러한 기조 저변에 흐르던 급진화한 인간화 운동의 양상을 심화시켜 인간해방의 전망을 갱신한다. 고정희는 이 과정에서 인간을 민중 또는 여성을 위계적으로 포괄하는 것으로 간주하지 않고 각 범주들을 동시적으로 사유하는 면모를 보인다. 이는 향후 고정희가 제3세계 시각을 벼리게 되는 하나의 토대가 된다.
    3장에서는 1983년 무렵 고정희의 민중시에 대한 문제의식이 인간해방의 이념과 연결되어 표출되는 양상을 살펴본다. 고정희는 「인간회복과 민중시의 전개—조태일·강은교·김정환 론」에서 민족주의·민중주의에 휴머니즘을 교차시킨다. 고정희가 타진한 ‘어머니-민중’을 중심으로 하는 휴머니즘 문학으로서의 민중시는 민중 담론을 휴머니즘으로 봉합하는 것이 아니라 당대 담론과 운동의 장에서 분리/대립돼있던 인간과 민중과 여성을 동시에 사유하는 시도이다. 이는 민중신학의 메시아니즘을 민중시의 이념으로 전유한 것으로서 『초혼제』 이후의 과제, 즉 민중의 수난사 및 죽음의 재현을 넘어 ‘죽은 자는 어떻게 돌아올 수 있는가’, ‘어떻게 그들의 역사를 쓸 것인가’ 질문한 것이었다. 고정희는 민중시가 이러한 도전에 마주함으로써 여성수난사를 극복하고 인간해방의 문학으로 재구성되어야 함을 역설한다. 고정희에게 이 문제의식은 ‘또 하나의 문화’와의 만남을 통해 구체화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starts with the question of limiting Go Jung-Hee’s literature and movement to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Second wave feminism. And I want to solve these questions by paying attention to the position of the awareness of Third World and Min- Jung poetry in Go Jung-Hee’s literature and life.
    Chapter 2 of the article examines the context of acceptance of "Third World humanism" and the development of the outlook for human liberation in Korea in the 1970s and 1980s. Paulo Freire’s concept of "humanization" referred to by Go Jung-Hee settled in South Korea as existentialist humanism, where Marxism was deleted. This was also the reason why the “women’s humanization” movement, which embraced Freire’s theory with Second wave feminism at the time, couldn’t relativize Second wave feminism. Go Jung- Hee also started from this base, but Go Jung-Hee renews the prospect of human liberation by deepening the pattern of the radical humanization movement at that time.
    Chapter 3 of the article examines the pattern in which Go Jung-Hee’s opinions about Min-Jung poetry is expressed in connection with the notion of human liberation around 1983. In “Human Recovery and the Development of Min-Jung Poetry”, Go Jung-Hee changes Kim Ji-ha’s nationalism-peopleism into the language of humanism. This is not an attempt to seal Min-Jung discourse with humanism, but an intersect to simultaneously human, Min-Jung and women which were separated and confronted. This was based on the question of how the dead in Gwangju can return, which was a variation of the messianism of Min-Jung theology the 1970s and 1980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학습이 즐거워지고 있습니다. 학습 후 실제로 과제나 레포트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할 예정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0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