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스(Goth)는 문화적 양식이었던 고딕(Gothic)과 그 맥을 같이하지만 다소 하류 문화의 형태로 구분되어 오다가 문화적으로 18세기와 19세기를 거치면서 그 틀의 전형을 보여주기 시작하였고, 근대와 현대를 거치면서 1990년대에 이르러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모습을 나타내게 되었다. 고스 스타일의 대표적 특징으로서 어둠이나 우울함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던 검은 색과 같은 짙은 색상의 활용 양상도 시대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짙은 빨강색이나 흰색의 보조적 활용 등의 형태로 진화하게 되었다. 특히 메이크업 분야에서 고스 스타일의 대표적 응용 형태인 ‘뱀파이어 메이크업’이나 ‘스모키 메이크업’에서 그러한 형태를 확인할 수 있는데, 초기에는 어두움을 기반으로 한 공포성, 반항성, 비애성 등을 표현하면서 모호한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초기의 표현들이 점차 여성성과 낭만적인 요소 등을 결합시킴으로써 탄생된 것이 버건디 메이크업(Burgundy Make-up)이라고 볼 수 있다. 최근의 버건디 메이크업에서는 앞서 기술한 요소와 더불어 관능성과 같은 요소들이 조금 더 가미되어 고스 스타일에서 어둡고 우울한 요소만을 제거한 듯한 발전된 형태를 보여주기에 이르렀다. 대표적인 버건디 메이크업 요소는 다른 부위보다 특히 눈과 입을 개별적으로 강조하거나 눈과 입을 동시에 강조하는 형태로 나타나며, 빨강색을 중심으로 한 짙은 색상을 특징적으로 활용하는 기법이 주로 이용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각 부위별 버건디 메이크업 활용 형태를 확인해 봄으로써 다양한 문화 분야의 기본적인 활용 요소 중의 하나인 메이크업의 최근 트렌드를 파악해 볼 수 있었다.
영어초록
Goth, derived from the Gothic to the sub-cultural type has been the part of the modern culture and has influenced on a various area including the make-up style. These influences can be found in 'Vampire style make-up' or 'Smoky make-up' as typical application in make-up area. Recently, it changed more brightly instead of dark and gloomy atmosphere of the early Goth by adding the feminity and romantic elements. As a result, latest burgundy make-up is the modified trend by reinterpretation of Goth. The authors were able to found that the red color is mainly used in eye area, lips and both area for the expression of burgundy make-up. As these results, we could understand that the useful style of burgundy make-up in latest make-up trend can be used in various culture field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