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이미지 연구에서 제기된 문제의식을 시 텍스트 해석에 적용, 새로운 시적 이미지 연구방법론을 모색하려는 문학계의 논의에 대한 시론적 제언이다. 그간의 이미지 연구는 주로 시각적 이미지를 대상으로 하는 바, 그를 문학 이미지 연구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언어를 통해 구성되는 ‘시적 이미지’와 ‘시각적 이미지’의 차이와 개념을 명확히 해야 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그를 위해 본 논문은 시각적 이미지와 언어적 텍스트의 차이에 대한 이론들을 고찰한다. 무엇보다 시각적 이미지는 묘사하는 대상의 디테일들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담고 있다는 점에서 텍스트와 구별된다. 회화와 문학 사이의 경계를 긋고자 하는 레싱에 의하면, 문학은 시간 속에서 이루어지는 행위의 서술하는데 더 적합하며, 미술은 공간 속에 있는 물체들을 묘사하는데 더 적합하다. 이는 선행적이고 연속적인 언어와 즉각적이고 병렬적인 시각 이미지의 매체적 특성에서 기인한다. 많은 경우 회화 속 특정 디테일은, 화가의 의식적인 작화 행위의 영역에서 벗어나 그의 습관적, 무의지적 특성을 보여줄 수도 있다. 모렐리는 이를 위작 판별법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사진을 ‘코드없는 메시지’라고 정의한 롤랑 바르트는 사진 이미지 속에 언어로는 포섭되지 않는 지점(푼크툼, 무딘의미)이 존재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매체이론가 키틀러는 문학이 언어를 매개로 감각정보를 기록하고 전송하는 기능을 해왔으며, 이는 사진이나 영화 같은 기술적 매체의 등장과 더불어 그 유효성을 상실했다고 진단한다. 이러한 이론들은 문학적 이미지와 시각 매체들이 생산하는 이미지의 개념 및 그 차이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을 제기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be a suggestion for the discussion of the poetic image raised by literary scholars, who try to apply the theorem of visual image studies to poetic image. Because the image studies hitherto dealt with visual images, it is unavoidable to make clear the difference and concept between 'poetic image' and 'visual image’. For this purpose,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ies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visual images and linguistic texts. Above all, the visual image is distinguished from the text in that it contains the details of the objects to be depicted. According to Lessing, who wants to draw the line between painting and literature, literature is better suited to describe the actions that take place in time, and art is better suited to describe objects in space. This is due to the continuity, the medial characteristics of language, which results in different way of perception in poetry and paintings. In many cases, the specific details in the painting may reveal the habitual and unintentional traces, escaping from the artist's consciousness of painting. Morelli set this as a starting point for a method of discerning the forgery from the original. Roland Barthes, who defines photographs as 'codeless messages', argues that in the photographic image there is a point that does not get involved in the language (punctum). The media theorist Kittler noticed that the literature has functioned as a instrument to record and transmit sensory information by language, which, in conjunction with the emergence of technical media such as photography and cinema, has lost its validity. These theories raise the questions of the concept of poetic images and images produced by visual mediums, which must be further clarified.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