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금할 수 없는 것을 해금하기—월북영화인 해금 30년의 여정 (Lifting of the ban that can not take off: The journey of Filmmakers defecting to North Korea for 30 year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8.12
28P 미리보기
해금할 수 없는 것을 해금하기—월북영화인 해금 30년의 여정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보학보 / 20호 / 211 ~ 238페이지
    · 저자명 : 한상언

    초록

    이 논문은 영화인의 월북을 이유로 영화 상영이 금지된 1940년대 후반부터 일제강점기 제작된 조선영화가 발굴되기 시작한 2000년대 중반까지를 중심으로 월북영화인과 해금에 관해 되짚어 보고 있다.
    한국전쟁 이전인 1948년 제작된 <해연>은 영화제작에 참여한 영화인들이 월북했다는 이유로 영화상영 도중 필름이 압수된 첫 번째 영화였다. 한국전쟁 발발 이후 월북영화인이 관여한 영화는 남한 내에서 상영될 수 없었다. 1926년 제작된 <아리랑>처럼 일제강점기에 제작되었거나 <마음의 고향>처럼 한국전쟁 직전 제작되었던 많은 수의 영화들은 관련 영화인의 월북을 이유로 오랫동안 공개될 수 없었다.
    월북영화인들이 참여한 영화 중 일부는 한국영화사의 정전으로 선택되어 상영될 수 있었다. 1975년 해방 30주년 기념이나 1979년 한국영화 탄생 60주년 기념을 위해 개최된 영화상영회에서 해방 후 처음 만들어진 광복영화인 <자유만세>가 상영되었다. 이 영화는 월북영화인 독은기를 화면에서 지워버리는 방식으로 공개되었고 이후 한국영화사의 가장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1988년 해금 이후 숨겨졌던 한국영화들이 발굴되기 시작했다. 발굴된 영화들 대부분이 일제말기 영화이다 보니 영화인의 월북이라는 문제보다는 친일문제로 미끄러지기 일쑤였다. 이는 친일문제라는 보다 민감한 문제의 영향도 있지만 월북영화인과 북한영화에 대한 무지에서 빚어진 결과이기도 하다. 현재 월북영화인에 대한 연구는 시작단계로 북한영화연구와 함께 진행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volves around the filmmakers and the release from the late 1940s when movie screening was prohibited due to filmmakers defecting to North Korea to 2000s.
    A sea gull produced in 1948 before the Korean War was the first film to be confiscated during the film screening because the filmmakers defecting to North Korea. Afte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the films involving filmmakers defecting to North Korea could not be screened in South Korea. Like Arirang produced in 1926, many films that were produced just before the Korean War, such as the Home of the Heart mad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uld not be released for a long time due to defectors from South Korea.
    The screenings of the films participated by filmmakers defecting to North Korea began to be made through films chosen by Korean film history canon. Hurrah! For Freedom which was the first film after the liberation was screened for the 30th anniversary of liberation in 1975 and the 60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Korean films in 1979. This movie could be released in the way that erasing Dock Eunki on the screen occupied the most important position of Korean film history.
    Korean movies that have been hidden began to be excavated since 1988. Most of the excavated movies were lat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so it was rather slippery due to collaboration with Japanese colonialists. This is also the result of the more sensitive issue of the pro-Japanese issue, but also the ignorance of filmmakers efecting to North Korea and North Korean films. Currently, research on filmmakers efecting to North Korea is being carried out with North Korean film research as a starting poi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