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통일연구 / 19권 / 1호 / 189 ~ 203페이지
· 저자명 : 라우라 오소리오 고메즈
초록
1948년 이후 남북 관계는 변동했다. 우선, 통일을 힘과 흡수의 방법으로 이루려 했다. 이후 신뢰구축은 통일의 주요 과정으로 여겨졌다. 북한은 점점 고립과 쇠퇴의 위험에 처해져 가고 있다. 소련의 몰락과 두 명의 지도자의 죽음, 엄청난 기근 그리고 역사상 동맹의 변화라는 사건은 정권을 약화시켰고, 북한은 언젠가 붕괴될 것이다. 북한의 현재 상황과 북한과의 관계 발전에 대한 한국 정부의 태도 변화를 살펴보면, 한반도의 통일이 임박했다는 것을알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Since 1948, the inter- Korean relations have fluctuated. Initially, the reunification was sought through the use of force and absorption. Later, the recovery of confidence ruled the process. North Korea is more and more isolated and in imminent decadency. Events such as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the death of Juche’s founder, severe famines and the change of course of the historical allies, have deeply weakened the regime that will end in a collapse some day. Given the current situation in North Korea and the change of attitude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ward an improvement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North, it is possible to think in Korea’s coming reunification.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