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계화 시대의 세계지리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World Geography Education in the Age of Globalization : Why Does It Matter? and How to Make It?)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7.11
14P 미리보기
세계화 시대의 세계지리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역지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23권 / 4호 / 665 ~ 678페이지
    · 저자명 : 조철기, 이종호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교에서 선택과목의 하나로 가르치고 있는 ‘세계지리’ 교과목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그에 대한 대안을모색한 것이다. 우리나라 고등학교 선택과목명 ‘한국지리’와 ‘세계지리’는 과연 세계화와 지역화라는 사회적 적실성에 부응하고 현대 지리학이 제공하는 새로운 지리적 지식을 담는 그릇으로 타당한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지리교육의 모학문인 지리학은 관계적 전환을 통해 다중스케일적 접근과 관계적 사고를 강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등 지리교육은 여전히 한국지리와 세계지리로 양분된 교과목 체제를 가지고 있어서 이를 반영하는데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스케일이 함께다루어질 수 있는 비스케일적 교과목명의 도입을 전향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비스케일적 교과목명 하에서의내용조직은 ‘선 계통적 접근, 후 지역적 접근’으로 하되, 쟁점 중심으로 적절히 결합될 필요가 있다. 한편 지역적 접근에서는 세계의 지역구분에 과도하게 매몰되지 말고, 선정된 지역 하에 주제기반 사례학습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investigate ‘World Geography’ subject which is taught as one of the elective subjects in Korea’s Secondary Education and to provide an alternative approach to world geography education in Korea. Currently, ‘Korean Geography’ and ‘World Geography’ are the two of elective subjects in Korean high schools. But, we raise a question about the dichotomy of geography subjects because geography subjects are required not only to meet the social needs in an era of globalization, but also to embrace huge volumes of geographical knowledge developed and accumulated as a result of modern geographical research.
    As a parent discipline of geography education, geography continues to put emphasis on the multi-scalar approach and the relational thinking through the relational turn. However, the subject dichotomy in geography education can be a great barrier to receive things mentioned above and therefore to strengthen the social usefulness of geography education. In sum, we propose that it is urgently necessary for geography education to introduce integrated non-scalar subject names in order to deal with various scales. Under these non-scale subject names, content organization should be the systemic approach in the first and the regional approach in the second.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geographical issues should be properly combined with the two approaches. In addition to this, we suggest that the regional approach should be based on the case studies that typically show geographical issues about specific regions rather than based excessively on the regional divisions of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