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셸 푸코의 ‘근대문학’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How to Interpret Michel Foucault's Arguments on 'Modern Literature’)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7.11
21P 미리보기
미셸 푸코의 ‘근대문학’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남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남어문논집 / 1권 / 44호 / 5 ~ 25페이지
    · 저자명 : 고봉준

    초록

    이 논문은 1960년대에 발표된 ‘문학’에 대한 미셸 푸코의 아이디어에서 출발하여 ‘근대문학’의 기원과 성격을 설명해보려는 시도의 일환이다. 이 시기에 미셸 푸코는 ‘문학’에 관한 중요한 저작과 강연을 남겼는데, 1966년에 출간된 그의 대표작인『말과 사물』(1966)과, 프랑스(1963), 벨기에(1964), 미국(1970) 등에서 행한 강연모음집 『문학의 고고학』이 대표적 사례이다. 미셸 푸코는 『말과 사물』에서 근대문학의 발생적 기원을 ‘언어’의 위상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푸코의 설명을 요약하면, 근대문학은 대략 19세기 초에 시작되었다. 서구의 지식체계 내에서 한때 ‘언어’의 위상은 ‘사물’과 동일했으나, 이러한 사유체계는 고전주의를 거치면서 사라졌다. ‘언어’는 이제 ‘사물’을 지시, 재현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인데, 푸코는 이러한 변화가 ‘언어의 격하’이며, ‘문학’은 이 격하에 따른 보상으로 출현했다고 설명한다. 고전주의적 지식체계가 종언되는 지점에서 ‘사물’을 지시/재현하는 수준에 머물던 언어가 그 기능에서 해방되어 극단적인 독자성을 획득하게 되었고, 근대문학은 바로 이러한 언어의 재현적 질서/기능과의 단절을 통해 자신을 접근하기 어려운 존재로 선포함으로써 등장했다는 것이다. 푸코에 따르면 이러한 근대문학의 출발은 말라르메에서 시작되었으며, 따라서 ‘근대문학’은 우리가 생각보다 나이가 많지 않다. 이 주장에 따르면 언어를 지시/재현적인 방식으로 사용하는 글쓰기는, 설령 그것이 ‘문학’처럼 보일 때조차 ‘문학’이 아니다. 흔히 ‘모더니즘’으로 통칭되는 문학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그동안 상당히 많은 심리적 저항에 부딪혔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반박되지 못했다. 오히려 그동안 근대문학의 기원은 사회·경제적인 변화에 수반되는 문화적 현상의 일종으로 설명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런 맥락에서 ‘언어’의 위상을 중심으로 ‘근대문학’의 기원을 설명하는 푸코의 논의는 문학의 ‘현대성’을 살필 때에도 유용한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literature', starting from the ideas of Michel Foucault on 'literature' that he presented in the 1960s. At the time, he made important publications and gave lectures on 'literature', including one of his most widely known works "Words and Things (1966)" and "La grande etrangere: A propos de litterature", a compilation of his lectures given in France(1963), Belgium(1964) and the US(1970). In "Words and Things", Foucault explained the origin of modern literature based on the status of 'words.' According to him, modern literature germinated around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In the western knowledge structure, the status of 'words' used to be equal to that of 'things', but this thinking expired through the period of classicism. Now 'words' merely indicate or represent 'things', and Foucault saw this change as the 'degradation of words' and that literature appeared as a compensation for this degradation. As the classical knowledge structure came to an end, words were freed from a mere role of indicating and representing 'things' and obtained extreme independence, and modern literature appeared as a result, declaring itself as hard-to-approach by severing the ties between words and their representative order/function. According to Foucault, Mallarmee's work marked the beginning of modern literature, which makes its history rather short. According to his argument, written words that use language for a purpose of indication or representation are not 'literature' even when they seem like 'literature.' This so-called 'modernistic' approach to understanding literature has been widely met by psychological resistance, and yet, the view has not been effectively refuted. In most cases, the origin of modern literature has been seen as a kind of cultural phenomena that accompany social and economic changes. In this vein, Foucault's arguments to explain the origin of 'modern literature' based on the status of 'words' can be a good starting point in examining 'modernity' of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1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