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개정 교육과정 기초 검인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및 역사부도 수록 고려시대 역사지도의 분석 (An Analysis on Koryŏ Period’s Historical Maps Contained in the Government-Authorized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and Auxiliary Historical Atlas Based on 2011 the Education Ministry Revised Curriculu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본 연구에서는 검인정 체제 하에서 발행되고 있는 현행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3종과 역사부도 3종을 선택하여 고려시대 관련 역사지도를 분석하였다.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역사지도의 숫자가 고대사 역사지도에 비하여 상당히 부족하다. 시기가 길고 다양한 국가가 존재했던 고대사의 역사지도 숫자가 많은 것은 당연하지만, 시대별 역사지도의 숫자의 균형을 맞추려는 노력도 중요하다. 역사부도의 경우, 교과서에 비해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역사지도를 더 많이 수록하였다. 교과서에 실린 고려시대 역사지도는 16개의 주제로, 역사부도에 실린 고려시대 역사지도는 22개 주제로 구분할 수 있다. 역사부도는 고려시대사 이해의 체계화를 위해 교과서보다 다양한 지도 자료를 수록했기 때문에,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교과서와 역사부도에는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지도 주제가 빠져 있거나, 굳이 지도로 실을 필요가 있는가 하는 의문이 드는 주제도 있다. 교과서와 역사부도에 실린 고려시대 관련 역사지도의 분석 결과, 수록 지도에 경계선이나 영역과 관련된 내용, 지도에 표기된 지명, 그 외 지도에 표기된 사실 관계 등에 있어서 여러 오류가 발견되고 있다. 그러한 문제점들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학계의 전문가들은 검인정 교과서 발행 체제가 국정 교과서 발행 체제보다 훨씬 우수하다고 보고 있다. 그러므로 2017년부터 적용되는 중학교 역사 교과서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 발행 체제는 즉각 폐기되어야 하고, 기존 교과서와 역사부도에 수록된 역사지도의 오류 수정도 검인정 발행 체제 하에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nalyzed historical maps of Koryŏ period contained in three kinds of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and other three kinds of auxiliary historical atlases for high school students published under the current government-authorized system. The number of historical maps of Koryŏ and Chosŏn period contained in the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are considerably insufficient compared with the number of historical maps of the ancient period. It is important to balance the ancient period with medieval (Koryŏ and Chosŏn) period for the number of historical maps, although it is reasonable that much more maps focus on the ancient period because of the existence of various kingdoms for longer years. The auxiliary historical atlases generally contained more historical maps of Koryŏ and Chosŏn period compared to the history textbooks. Historical maps of Koryŏ period contained in the three kinds of the textbooks are classified into sixteen topics besides the maps in the three kinds of the auxiliary atlases are classified into twenty-two topics. auxiliary historical atlases are highly evaluated, because they contained more varied and detailed maps than the textbook for students’ systematical understanding on Koryŏ period. However, the textbooks and the auxiliary atlases miss several maps of some topics which must be included in, or include maps of some unimportant topics. Besides, according to an analysis on historical maps contained in the textbook and the auxiliary atlases, various errors related to boundary lines and areas, place names and other contents marked on the maps are discovered. In spite of those errors, most of historians including university professors evaluate that the history textbook and the auxiliary history atlases published under the current government-authorized system are extremely superior to the ones under the government designated system.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have to abolish the government designated publication system of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 and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 immediately, which is planned to be applied from the year of 2017. Also, correcting errors contained in the current textbooks and the auxiliary atlases should be performed under the government- authorized publication system.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