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완의(完議)’ 문서의 특성과 그 사회적 기능 -거제부 구조라리 完議의 사회적 의미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Wanui documents(完議) and its Social Function in the Late Chosun Period - Centered on the social meaning of Wanui documents produced in the Kujora village(舊助羅里) on the Geoje island(巨濟)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7.08
56P 미리보기
조선후기 ‘완의(完議)’ 문서의 특성과 그 사회적 기능 -거제부 구조라리 完議의 사회적 의미를 중심으로-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실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실학 / 63호 / 77 ~ 132페이지
    · 저자명 : 김혁

    초록

    이 연구는 구조라리의 완의들을 다른 유의 완의와 비교함으로써 완의의 일반적인 문서 제도적 특성과 사회 집단과의 관련성을 해명하고, 특히 이 완의들이 동중 조직이 마을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생산된 문서라는 점에 주목하여 동중과 마을민 사이의 위계 구조, 公議 형성 과정, 그 사회 조건을 문자사용의 정치학에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관찰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라리의 완의는 국가의 부담을 감당하기 위한 수동적인 에이전시(agency)로서만이 아니라, 사회체계를 위해 능동적인 기능을 하는 동중의 能態를 보여준다. 특히 1789년에 작성된 완의는 기존 해석에서 국가의 진상 체계를 파악하는 관점에서 파악하여 왔지만, 사실상 구조라리의 입장에서의 관찰이 핵심으로 여겨진다. 이 완의에 주목해야 할 점은 마을민들이 이러한 체계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의지이다. 그 밖의 완의들은 19세기에 작성된 홍합 채취권, 旅客主人權, 船稅 등과 관련된 마을민의 권리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 완의들은 모두 국가의 진상 체계로 대표되는 부담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원심력을 표상한다.
    둘째, 이 마을은 빈한한 마을로서 곤고한 삶을 이어갔다는 기존연구와는 달리, 수십 척의 배를 보유하고 고기잡이, 양식업을 전문으로 하였으며, 아울러 포구의 발달로 선세를 거두어 재원으로 삼던 부유한 마을이었으며, 이러한 경제적 토대가 사실상 마을의 공의를 형성하는 절차에 기반이 되었다는 사실을 밝히고자 하였다.
    셋째, 이때 公議 형성의 절차인 洞中會議는 奴 신분까지를 포함하여 각 호의 대표자인 남자 어른이 모두 참여하여 결정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향중에서의 의사 결정 과정과는 달리 난상 토론의 방식을 택하였고, ‘公議’를 천명하였지만 족적 결합을 통해 마을의 헤게모니를 가지고 있었던 몇몇 선주 집안들에 의해 주도되었지만 이들 간에는 협력을 전제로 한 경합 관계가 형성되어 있었다.
    넷째, 마을민 간에 비교적 대등한 상호 존중을 통한 공의 형성이 가능하였던 것은 이 마을의 산업형태나 혈연조직에 영향 받은 주민 간의 사회관계에서 연유한다. 이 마을은 배를 소유한 30여명의 선주를 중심으로, 선원이 결합된 마을로서, 船主들 사이에는 互酬性의 원리가, 그리고 어업이 갖는 특성 상 船人은 선주에게 결코 대체 가능하지 않은 구성원으로 상호간에는 기능적인 분화의 원리가 작동함으로써 마을민 간에는 상호존중하지 않을 수 없는 조건이 형성되어 있었다. 여기서 예상되는 불안성은 주도적인 선주들 간의 통혼으로 안정성을 꾀하는 구조가 형성되었다. 의사결정 과정에서 근대적 의미의 민주주의는 아니지만, 최소한 상호존중의 원칙이 고수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사실을 통해 완의가 문서로서 갖는 특성에 반영되어 있는 조직 운영에서 구성원 간의 평등성과 공정성을 추구하는 원리가 구조라리에서 부유한 어촌의 사회구성 원리인 상호 존중의 원리와 공명하였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illuminate the relation between the general docu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Wanui(完議) and the operation of the villages by comparing the social meanings of the Wanuis(完議) produced in Kujora village(舊助羅里) and other kind of Wanuis.
    Especially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Wanuis were produced through the functional operation, this paper tried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Dongjung(洞中), in other word a managing organization of the village and the villagers, the process of making a common and public opinion among the village society, and the social conditions from the standpoint of the politics of making use of the letters and papers.
    The following is the conclusion drawn after my researching.
    First, the Wanuis(完議) of Kujora village were the results of the active operation of the protection of the village society.
    Second, this vallage seemed to be a rich one living on professional fishing with dozens of ships, unlike previous studies.
    Third, the meeting of this vallage chose the method of discussing to make most of the patriarchs participate in the meeting comparatively equally enough to include the outcasting class. This seemed to be democratic in the modern and western way, but in the mutually respectful way.
    Fourth, what made it possible to make such mutually respecting relationships was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mode of production, namely the fishing method through the ship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wners of ships and their trained crews, the other members of the village, was the functional one that required mutual necessity.
    Fifth, the general principle of equality in the Wanuis(完議) resonated with the principle of mutual respectfulness in the rich fishing village that made the members respect each other for the necessity of function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