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중국 CNKI에서 제공하는 학술지 논문을 수집하여 중국 내 거란소자(契丹小字)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정성 분석 위주인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여 메타정보 분석, 빈도 분석을 통한 키워드 분석, 토픽모델링을 통한 주제 분석 등 다각적인 관점에서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 본고가 수집한 데이터의 양은 적지만 이같이 새로운 방법론을 적용하였으며 거시적인 관점과 미시적인 관점에서 심도 있게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는 데 연구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거란(契丹)은 920년에 ‘거란대자(契丹大字)’를 창제하였다. 거란대자는 표의문자에 해당하여 알타이어계 언어인 거란어를 표기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그 이후 표음문자인 거란소자를 창제하였다. 거란소자는 중국어 한자를 모방하여 창제하였기 때문에 중국어에서 음차해 온 단어가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거란소자 관련 사료와 연구는 중국어의 고대나 중고음운 연구에도 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거란소자의 연구 동향 및 성과는 중국 어문학계에서도 관심을 가질 만한 가치가 있다. 또한 여진문자뿐만 아니라 현대몽골어에도 영향을 받은 흔적이 남아있으므로 역사적 사료가 큰 가치가 있다. 그러므로 향후 거란소자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어 타 언어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used the Text Mining metho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in Khitan Small Script. The data were taken from the CNKI, a Chinese academic journals full-text database, and collect titles and abstracts of papers.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trend analysis, this paper used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method. This study provides not only an understanding of research dynamics but also presents a new research methodology.
Khitan Large Script was invented in 920, which represents the Khitan language. Khitan Large Script is an ideographic script, and it’s inconvenient to record an agglutinative language such as Khitan, a member of the Altaic languages. Before long, Khitan people created another writing system called Khitan Small Script, a kind of phonographic writing. Khitan Small Script has many loanwords from Chinese, understanding Khitan Small Script helps study ancient Chinese and its middle-ancient phonology. In addition, Khitan Small script i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Jurchen script and Mongolic languages, and has a significant historical value.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