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누정 건축 공간과 누정시 연구 방법론 모색- 경주 獨樂堂 溪亭과 회재의 <林居十五詠>을 중심으로 (Seeking for the method of studying about the architecture space and poems of pavilions-Focusing on the arbor of Dokrakdang(獨樂堂) in Gyeongju and Limgeosipohyeong(林居十五詠) of Heuija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08.12
25P 미리보기
누정 건축 공간과 누정시 연구 방법론 모색- 경주 獨樂堂 溪亭과 회재의 &lt;林居十五詠&gt;을 중심으로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58권 / 311 ~ 335페이지
    · 저자명 : 신상구, 이창업

    초록

    이상과 같이 독락당의 각각의 방마다에 붙인 편액의 의미를 통하여 독락당이라는 공간이 회재에게 어떤 공간이었는지? 또 그 공간에서 회재는 무엇을 사유하며 생활했는지를 <임거십오영>을 계정에 대비시켜 공간적으로 의미 있는 요소를 찾고 분석해 보았다. <임거십오영>에서 읊고 있는 노래는 대체로 계정 및 그 주변의 공간적 현황과 비교적 일치하고 있었다.
    그리고 <임거십오영>을 통하여 나타나는 독락당의 계정은 청각적인 요소보다 시각적인 요소가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계정 앞을 흐르는 개울(자계)은 개울 주변의 꽃과 나무, 녹음, 물속의 물고기 등 주로 시각적 요소(경관적 요소)로 표현되고 있으며, 계정 뒤로 보이는 정원과 하늘 자옥산 등 모두 보이는 바(시각적 요소)를 관념적으로 이해ㆍ해석하고 있다.
    본고에서 살펴보았듯이 시문은 누정이 있는 현장을 보다 폭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분석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답사자들이 현장을 답사하면서 시문을 대입하여 답사한다면 그 정자의 목적과 조영 당시 조영자의 시각으로 돌아가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Up until now, the studies about pavilions which are located between hills and streams have been progressed that the scholar of literature have been studying Chinese poetry of pavilions and the architect have been taking in charge of the architecture of pavilions.
    But, in the age of the fusion of genre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this paper was written within the premise of the Chinese poems which were recited and composed in the place of pavilions could be associated with the pavilions as architecture. Then, between literature and architecture, the educational system will be interchanged.
    To develop the assumption, this paper was focused on the Limgeosipohyeong (林居十五詠) of Heuijae Lee Ueonjeok and Dokrakdang(獨樂堂) KyeJeong(溪亭) which was the stage of it.
    And, pavilions architectures have been considered as significant subject matters in the Chinese poetry. So, by looking into what the constructor of a pavilion wanted to tell in it, and which space the writer's sight headed for and then how the Chinese poem was expressed, this paper showed another value and utility of the Chinese poetry by appreciating pavilions.
    Actually, Dokrakdang is the place where rusticated Heuijae strolled and enjoyed by himself and his academic pursuit and the goal of life was well brought out in the poem of Limgeosipohyeong. ‘Dokrakdang’, ‘Yeokrakjae’(亦樂齋), ‘Ryangjinarm’(養眞菴), ‘IhnjiHeon’(仁智軒) that Heuijae was named his book's title, were the ideal place of Heuijae. And there, he contemplated nature and learned the principle of the life.
    He wrote the poem Limgeosipohyeong by rambling about the circumstances of Dokrakdang and the arbor. And it has the constant current and expressed well about his literary scent and the world of moral. Especially, these poems represent that how Heuijae understood the place of the arbor.
    In conclusion, poetry and prose was an important data of analysis to understand the scene of pavilions broadly. So if the person who surveys the field tries to associate with them, he can examine the purpose and the meaning of the pavilions more carefully and more deeply. Because he could retrace and feel the construction's time of the pavil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