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널배를 이용한 갯벌어로 관행과 공동체 (A Study on Tidal-flat Fishing Custom and Communities Using ‘Neolba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7.12
27P 미리보기
널배를 이용한 갯벌어로 관행과 공동체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도서문화』 / 50호 / 351 ~ 377페이지
    · 저자명 : 박종오

    초록

    ‘널배’는 갯벌에서 사람이 이동을 하거나 물건을 운반할 수 있도록 나무판자를 이용해 만든 물건을 말한다. 널배를 이용한 어로활동은 주로 어업공동체가 관할하는 갯벌에서 이루어진다. 때문에 널배 어업은 어업공동체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널배는 물기에 강한 나무로 만드는데, 앞부분은 갯벌에 박히지 않도록 스키처럼 위로 구부러져 있다. 널배는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다. 각자 개별적인 사람의 특성이나 잡는 어획물에 따라 그 형태나 모양이 각기 다르다.
    汝自灣에 위치해 있는 대포마을과 거차마을은 널배를 이용한 어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곳이다. 이 두 곳은 잡는 어획물이 달라 널배의 모양이 다르다. 대포마을은 꼬막을 주로 채취하기 때문에 이곳 널배는 꼬막 채취에 맞게 긴 띠장이 달려 있고, 꼬막을 채취하는 도구인 기계를 얹을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대포마을은 공동어장을 어촌계에서 관할하여 공동노동, 공동분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거차마을은 주로 건강망에 잡힌 칠게를 털어서 운반하는데 널배를 사용한다. 때문에 이곳에서 사용하는 널배는 띠장이 없고, 대포마을의 것에 비해 길이가 길고 두꺼운 편이다. 이곳 갯벌은 공동체 소유이지만, 개별 점유, 개별분배의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거차마을의 갯벌 이용 형태는 처음부터 이러한 모습을 보인 것이 아니라, 어촌계원들의 노화에 따라 편의에 의해 변모된 형태이다. 대포마을의 경우도 차츰 마을 공동어장을 빈매하거나 타지에서 채취 인원을 데려다 어로행위를 하고 있다. 두 마을의 공동어장 이용방식은 다르지만, 계원들의 사회적 안정망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은 같다. 이는 소득 분배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현상인 것이다.
    공동체 어장 이용 방식이 계속해서 변하고 있다. 하지만, 두 마을의 공동어장은 여전히 어업 공동체 구성원들의 사회적 안정망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어업 공동체가 소유한 공동어장이 있어 지속적인 소득 분배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term ‘neolbae’ refers to a boat built to allow people to move or take goods from the tidal flats. Fishing activities using ‘neolbae’ are mainly carried out in tidal flats that are controlled by the fishing community. So, ‘neolbae’ fisheri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fishing community.
    ‘Neolbae’ boats are made of strong wood that is highly water-resistant. The front part is curved up like a ski so that the boat does not get caught on the tidal flat. The form and shape of the boats differ according to the people using them and the catches they are used for.
    In the Yeo-ja bay area, the ‘Daepo’ village and the ‘Geocha’ village differ in the way they use the tidal flats managed by the fishing community. The ‘Daepo’ village uses tidal flats in the form of joint labor and joint distribution, whereas the ‘Geocha’ village uses tidal flats in the form of individual occupancy and individual distribution.
    The pattern of using the tidal flats by the ‘Geocha’ village is changing because its community members are getting old. The ‘Daepo’ village also rents seafood collection rights, which is a change to maintain the fishing community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community members.
    Although the use of community fishing grounds is changing, the joint fishing grounds of the two villages still serve as a social safety net for the members of the fishing community because there is a common fishing ground owned by the fisheries community and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income continuous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