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문화유산에 대한 스토리텔링이 도시매력성과 장소정체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 지역 문화유산 관광객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Storytelling about Local Cultural Heritage on City Attractiveness, Place Identity, and Loyalty: Focusing on Cultural Heritage Tourists in the Gongju A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목적: 문화유산에 대한 관광은 일반적인 관광과 달라서 스토리텔링을 통한 해설이 있을 때 그 문화유산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를 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문화해설사의 공주시 문화유적에 대한 스토리텔링이 공주시를 방문한 관광객이 인지하는 도시매력성과 장소정체성 및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실증연구를 위해 공주 지역의 문화유산인 공산성과 무령왕릉 등을 방문하여 문화해설사의 스토리텔링을 체험한 관광객을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182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결과: 요인분석 결과 스토리텔링은 교육성, 흥미성, 감성, 테마성으로 구분되었고, 도시매력성과 장소정체성 및 충성도는 각각 단일차원으로 구분되었다. 가설검증 결과 스토리텔링의 구성요인 중에서 흥미성, 감성, 테마성이 도시매력성에 비슷한 정도의 영향을 미치고, 교육성은 좀 낮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소정체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교육성이 가장 높고, 흥미성, 감성, 테마성은 교육성보다 낮은 영향력을 보였다.
결론: 결국 지역 문화유산에 대한 스토리텔링은 도시매력성과 장소정체성을 높여 재방문과 주위 사람들에게 추천하고자 하는 의도를 높여 충성도 높은 관광객을 확보할 수 있다.
영어초록
Purpose: Cultural heritage tourism is different from general tourism, so you can properly understand the cultural heritage when there is explanation through storytelling. Therefore, in this study, we aim to empirically study how cultural interpreters' storytelling about Gongju City's cultural heritage affects the city attractiveness, place identity, and loyalty perceived by tourists visiting Gongju City.
Methods: For the empirical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tourists who visited Gongsanseong Fortress and King Muryeong's Tomb, which are cultural heritage sites in the Gongju region, and experienced storytelling by cultural interpreters. A total of 18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storytelling was divided into education, interestingness, sensitivities, and theme nature categories, and city attractiveness, place identity, and loyalty were each classified into a single dimension.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ing, it was found that among the components of storytelling, interestingness, sensitivities, and theme nature had a similar degree of influence on city attractiveness, while education had a somewhat lower influence. In addition, education had the highest influence on place identity, while interestingness, sensitivities, and theme nature had a lower influence than education.
Conclusion: In the end, research has shown that storytelling about cultural heritage can increase city attractiveness, place identity, and loyalty.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