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 방문객의 경험가치에 따른 지역이미지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2017 울산 아시아버드페어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destination image on behavioral intention according to experience value of festival visitors : Focused on 2017 Ulsan Asian Bird Fai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아시아버드페어는 2009년 태국에서 처음으로 개최된 이후로 매년 아시아 다양한 지역에서 개최되 었으며, 2017년 국내에서 최초로 울산에서 아시아버드페어가 개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아 시아버드페어를 방문한 방문객의 경험가치가 지역 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밝히고 자 하였으며, 두 번째로 축제 방문객의 경험가치에 따른 지역 이미지와 행동의도간의 영향관계도 규 명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시아버드페어에 방문한 방문객을 편의추출법 으로 선택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280부를 회수하였다. 회수 한 설문지 중 불성실하거나 완성이 되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73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21.0을 활용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문 객의 경험가치 중 ‘유희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는 지역의 정서적 이미지와 인지적 이미지 모두에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서비스 가치’는 지역의 정서적, 인지적 이미지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의 정서적 이미지와 인지적 이미지 모두 방문객의 행동의도와 긍정적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축제 방문객의 만 족이나 동의가 아닌 경험가치에 따른 지역이미지 그리고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 에서 학문적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향후 울산에서 버드페어를 개최할 경우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실무적 시사점 또한 제공하였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on visitors of the 8th Asian Bird Fair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destination image on behavioral intention according to experience value of festival participant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 experience value was divided into three factors: 'Amusing value', 'Economic value', and 'Service value'. Destination image was divided into two factors: ‘emotional image’ and ‘cognitive image’. To accomplish this purpose,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ose who visited the 8th Asian Bird Fair. A total of 27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invalid questionnaires. All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1.0. The meaningful findings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ut of the three factors of festival visitors' experience value, 'Amusing value' and 'Economic value’ positively influenced destination emotional image and cognitive image. However, ‘Service value’ did not influence emotional image and cognitive image. In addition, both of the destination image factors positively influenced visitors’ behavior intention.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future Ulsan festival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not only academic implications, but also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