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객과 지역주민의 축제참여동기와 만족에 관한 연구 -춘천마임축제를 중심으로- (Festival Motivation and Satisfaction by of the Visitors' and Residents: Focused on Chuncheon Mime Festiva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 15권 / 1호 / 517 ~ 528페이지
· 저자명 : 김영표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의 우수축제인 춘천마임축제를 방문한 관광객 및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축제참여동기 요인도출, 축제참여동기 요인에 대한 관광객과 지역주민간의 유의한 차이검증, 축제만족도에 대한 관광객과 지역주민간의 유의한 차이검증, 축제참여동기가 축제전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파악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분석방법으로 요인분석, t-test,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29개의 축제참여동기항목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축제참여동기요인을 이끌어냈다. 축제참여동기로 6개(일상탈출, 사교성, 축제매력성, 가족친화성, 축제신비성, 연계관광) 요인이 추출되었다. 축제참여동기 6개 요인에 대해 관광객과 지역주민의 축제참여동기 차이분석에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축제만족도에 대한 관광객과 지역주민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제참여동기가 축제전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으로 실행한 결과에서는 사교성, 축제매력성, 가족친화성요인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가장 높은 영향력을 나타낸 곳은 표준화회귀계수(β)가 .277, t값이 3.898(p<.000)인 축제매력성이었고, 이어 사교성, 가족친화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결론에서는 분석결과에서 얻어진 특성을 반영하여 춘천마임축제 발전을 위한 전략과 과제로 마케팅 마스터플랜의 수립, 관광객객과 지역주민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다양한 먹거리 메뉴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examine to draw festival motivation factors,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ourists and residents about festival motivation and festival satisfaction, and to check the influencing factor between festival motivation and overall festival satisfaction. For this, factor analysis, t-test,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29 motivation factors were used for factor analysis and six festival motivation factors were draw: escape from daily life, sociability, attractiveness, family affinity, mystics, and connected tourism.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ourists and residents in six festival motivation factors. Bu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ourists and residents in festival satisfaction. To find the influence level through regression, sociability, attractiveness, family affinity were influencing factors. Attractiveness showed the most influencing factor with .277 of β and 3.898(p<.000) of t value. In conclusion acquired facts from the result of analysis were illustrated to develop Chuncheon Mime Festival. For this, the establishment of a strategy and action plan were suggested: the establishment of master plan, the development of software program, and variety of specified food.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