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의료관광산업에서 한국의 국제경쟁력을 높인다는 목표 하에, 해외의료관광객의 한국의료관광 구매의도를 결정짓는 요인을 통합적으로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하기 위해 통합적이고 다차원적인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다음 세 가지의 핵심요인을 도입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첫 번째 핵심요인은 국가이미지이다. 본 연구는 국가이미지를 구성하는 주요 속성을 종합적으로 파악함으로써 해외의료관광객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두 번째 핵심요인은 의료관광이미지이다. 기존 연구에서 국가이미지와 의료관광 이미지가 서로 다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하위속성이 서로 중복되게 사용되는 문제점이 발견된다. 이는 아직 의료관광 이미지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의와 속성파악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높다. 세 번째 핵심요인은 체류경험이다. 국제관광에 있어서 체류경험은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체류경험을 의료관광산업과 직접 연관 지어 연구한 문헌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체류경험이 국가이미지와 의료관광이미지가 구매의도에 주는 영향을 조절하는 변수로서 연구모형에 도입하였다. 이상의 세 가지 개념이 포함된 연구모형을 중국인 잠재의료관광객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영어초록
Medical tourism is a combination of medical and tourism industry. It draws attention in the global market recently as a high value-added business. It is, therefore, expected to have a maximum spill-over effect on national economy. There are two objectives in this study. One is find out how Koreaʼs national image and medical tourism one exert an influence on the purchasing intention of foreign tourists for Korean medical tourism. The other is to verify if overseas staying experience can be a moderating variable.
The national image consists of five key components such as cultural image, relational image, political image, economic image, and people image. In the respect of medical tourism image of Korea, five key components including medical expertise, level of medical tourism infrastructure, convenience of treatment, quality of medical service and treatment expenses are developed. Finally, through statistical testing, the hypotheses on national image and medical tourism image are partially supported, and the existence of the moderating effect of a staying experience variable is proved.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