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폴 틸리히의 주-객 통일성의 신학 (Paul Tillich’s Subject-Object Uniting Theolog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1.06
31P 미리보기
폴 틸리히의 주-객 통일성의 신학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29호 / 249 ~ 279페이지
    · 저자명 : 유장환

    초록

    신학사를 되돌아 볼 때, 신학의 역사는 객관성의 신학과 주관성의신학 사이의 갈등의 역사였다. 예를 들어, 17세기의 정통주의는 객관성의 신학이었다. 17세기의 대표적인 신학자인 게르하르트(J. Gerhart)는객관적인 하나님의 말씀에서 출발하고 논리적이며 예리한 사고를 통해서 신앙 조항들을 세분화하는데 집중했다. 반면에 19세기의 자유주의신학은 주관성의 신학이었다. 19세기 신학의 대표자인 슐라이어마허(F.
    Schleiermacher)는 신의식(또는 절대의존의 감정)에서 출발하여 그리고 신의식과 관련하여 기독교 신앙을 설명하려고 했다. 물론, 17세기정통주의 신학과 19세기 자유주의 신학은 그 시대의 상황에서 보면 나름대로 신학적인 의의가 있었다. 17세기 정통주의 신학은 냉철한 합리적 이성을 통해서 활화산처럼 분출한 종교개혁 신앙을 체계적으로 정립하여 개신교 신자의 교육과 양성의 체계를 확립해 주었다. 그리고19세기 자유주의 신학은 우리에게 주어져 있는 신의식(인간의 하나님경험)에서 출발함으로써 화석화된 정통주의 신학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생명력 있는 신앙을 회복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 하지만17세기신학과 19세기 신학 그 자체는 객관성이나 주관성 어느 하나만으로는“참된 신학”이 될 수 없음을 보여 주었다. 객관적인17세기 정통주의신학은 인간의 주관적인 참여를 배제함으로써‘내가 믿는 신앙이 아니라 교회가 믿는 신앙을 믿는’신앙의 교리적인 형식화를 초래했고, 주관적인 19세기 자유주의신학은 인간의 경험에서 출발함으로써 계시의내용을 인간의 경험한계 내에서만 정립하는‘신학의 인간학적인 환원’을 초래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에 직면하여20세기 신학은‘어떻게 하면 객관성의 신학과 주관성의 신학 사이의 분열을 극복할 수 있는가’라는 신학적인 물음을 신학의 주된 과제로 가지고 있었다. 20세기 위대한 신학자들, 바르트와 불트만과 틸리히는 비록 신학적인 경향과 관점에서는 차이가 있었지만 이들은 자신들의 고유한 관점에서 객관성의 신학과 주관성의 신학 사이의 분열을 극복하려고 시도한 점에 있어서는 매우 유사했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칼 바르트는 주-객 분리를 극복하기위해서 전적인 타자되는 하나님의 인식에 있어서1차적 신인식과2차적 신인식을 구별했고, 루돌프 불트만은 우리의 실존으로부터 하나님을 말함으로써 주-객 분리를 넘어서 계신 하나님을 대상화하지 않고비대상적으로 말하려고 시도했고, 폴 틸리히는 주관과 객관 사이의 분열을 초월해 있는 신비적인 선험성에 신학의 토대를 둠으로써 경험적인 귀납의 학문으로서의 신학이나 형이상학적인 연역의 학문으로서의신학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시도했다. 특히, 폴 틸리히는그 누구보다도 주- 객 통일성에 기초하여 신학의 전 체계를 구성했다.
    일반적으로 학자들은 틸리히 신학의 의의를 궁극적 관심, 소외, 새로운존재와 같은 새로운 용어를 창조하여 기독교 신앙을 존재론적으로 재해석한 점이라고 본다. 하지만 필자가 보기에는 틸리히 신학의 진정한 의의는 주-객 통일성의 신학을 통해서 신학사의 근본적인 문제점인주관성과 객관성 사이의 분열을 극복한 점이라고 생각된다.7) 따라서 필자는 본 논문에서20세기 지성인의 사도인 폴 틸리히가 어떻게 주-객통일성의 신학을 제시했는지 그의 주요 신학사상들(방법론, 계시론, 기독론)을 통해서 살펴본 후에 틸리히의 주-객 통일성의 신학이 지니고있는 신학사적인 의의를 평가해 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When we survey the history of theology, we find that it was the history of the conflict between an objective-type theology and a subjective-type theology. For example, in the 17th century an objectivetype theology was overwhelming and in the 19th century a subj e c t i v e-type theology was overwhelming. As a result, great theologians of the 20th century tried to overcome the conflict between subjectivism and objectivism.
    This can be proved in the case of Paul Tillich(1886-1 9 6 5 ) ,because Tillich constructed his theological system on the base of a subject-object uniting theology. According to Tillich, the method of correlation is the subject-object uniting methodology in which the conflict between supranaturalistic method and the naturalistic method is subsided. Revelation is the subject-object uniting event in which the manifestation of the mystery appears objective in terms of what traditionally has been called ‘miracle’ and subjective in terms of what traditionally has been called ‘ecstasy’. Atonement of Christ is the subject-object uniting event in which atonement is accomplished by human participation in the divine participation. Regeneration is the subject-object uniting event in which we subjectively take part in the objective reality, namely the New Bing in Jesus as the Christ. Justification is the subject-object uniting event in which we accept that we are accepted. Sanctification is the subject-object uniting life-process in which the power of the New Bing objectively grasps us and subjectively transforms us in all realms of life.
    In conclusion, Tillich’s theology is a subject-object uniting theology mediating between an objective-type theology and a subj e c t i v e-type theology. Tillich’s theology, although he died 56 years ago, is still a good guide to show us the way to point the divine mystery transcending the object-subject struc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