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방한 중국인 단체 관광객과 개별 관광객 간 관광목적지 네트워크에 관한 비교 연구 (A Social Network Analysis Approach to Tourism Destination Choices Between Group Tourists and Independent Tourists among Chinese Inboud Tourists to Ko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본 연구는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여 여행행태에 따른 단체 관광객(group tourist)과 개별 관광객(free independent tourist)에 따른 관광목적지 선택의 패턴과 특징을 도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3 외래관광객 실태 조사를 위해 사용된 2차 데이터(secondary data)를 활용하여, Pajek, UCINET을 활용하여 밀도, 집중도, 중심성, 키플레이어 등의 분석을 하였다. 분석의 결과, 단체 관광객 및 개별 관광객 네트워크 내의 관광목적지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단체 관광객 및 개별 관광객의 관광목적지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결과, 중심성이 높은 관광목적지들은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키플레이어 분석을 통해 단체 관광객 및 개별 관광객의 관광목적지 네트워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관광목적지가 각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정부의 관광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 및 기관·관광 기업, 관광목적지 마케터들에게 관광 행태에 따른 관광목적지들 간의 관계 및 특성을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관광 행태에 의한 관광목적지의 운영 및 관리, 홍보 등을 통해 경쟁력을 지닌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관광목적지의 가치를 높이는 데에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compare tourism destination choices between group tourist and free independent tourist among Chinese inbound tourists to korea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using 2013 International Visitor Survey data. The original data were transcribed into data matrix using UCINET and Pajek for network analysis. The first chapter of analysis dealt with the tourism destination network density, centralization and destination visit patterns from a global perspective. The second chapter was an analysis of nodes(tourism destinations) with the highest centrality index in order to identify the most influential tourism destination within the tourism destination network. Several results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high density index and low centralization index, which means that both tourism destination networks possess high level of connectivity. Second, the centrality index indicated that different destinations of high centrality index were identified in each network. Finally, through key player analysis, we found that key destinations in group and independent tourism destination networks were different, reflecting tourists' unique behavioral pattern by travel mod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tourism industry practitioners with strategic marketing implications and researchers with insight and guideline for future study on tourism destination choice study. This study will also make meaningful contribution to our understanding about the link between travel mode and tourism destination choice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