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 법 영역 교재 개발 사례 검토 - 부교재 형태로서의 어린이로스쿨 교재 및 학교규칙 워크북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ases about Developing of Textbooks or Materials of the Law Area in Social Stud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본고는 필자가 개발한 두 가지 법교육 교재 개발의 과정을 되집어 보고, 향후 법교육 교재 개발 작업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두 가지 개발 교재는 금년에 개발한 지역아동센터 아동 대상의 어린이 로스쿨 교재와 학교규칙 운영 매뉴얼 워크북이다. 본고는 이러한 교재 개발이 초등학교 법교육에서 가지는 의미와 각 교재 개발과정이 가지는 공통적인 접근 방법론 등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고, 이를 학계에 공론화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함으로써 좀 더 법교육 본질에 근접한 좋은 교재를 만들어내고자 하는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으리라 생각하였다. 본고는 이를 위하여 첫째, 법교육 교재 개발이 현행의 교육과정 틀 속에서 가지는 의의와 본고에서말하는 교재의 의미를 다루었다, 둘째, 법교육 교재 개발에서의 접근방법을 도출하였다. 셋째, 법교육교재개발의 사례를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이와 같은 검토 작업을 통해 향후 법교육 교재 개발을 하는 현장 교사들에게주는 시사점 등에 관한 제언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영어초록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et more hints of approach method and processes for developmentof law materials or law books through the review of the two cases of development of studymaterials about law-relalted education. The first case of the two is developing of children's lawschool textbooks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s(CCC) to teach children. The second case is thatof school rule workbooks . This paper review these two examples in order to obtain its points. First, we will touch what development of law materials or law books means in the frameworkof the national current curriculum.
Second, we will take out the base of the development of law content organization in thecurriculum. Third, we review the case of the development of law-related teaching materials. I will summarizes the discussion of the approaches and processes for development of lawrelated material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