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정풍 사랑의 문학에 등장하는 ‘레이디’ 연구: 『아서왕의 죽음』에 그려진 두 개의 사랑 이야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ady’ in Medieval Courtly Love Literature Focusing on Two Love Stories in Morte D’arthu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 발행기관 : 한국문학과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과 종교 / 24권 / 4호 / 39 ~ 58페이지
· 저자명 : 이현주
초록
중세를 대표하는 로만스 장르 중의 하나는 궁정풍 사랑의 문학이다. 이 궁정풍 사랑의 문학은 12세기 남프랑스 프로방스 지방에서 발전한 문학의 한 형태로, 이 사랑은 군주의 부인인 레이디와 기사의 사랑을 주 주제로 삼는다. 이 궁정풍 사랑은 특히 성모 마리아 숭배 사상과 결합하여 이전의 시대와는 달리 레이디를 여신과 같은 지위로 높여 숭배한다. 하지만 실제적으로 교회 제도의 영향을 받아 가부장적 사회가 주축이 되는 중세 시대에 이와 같은 사랑의 형식이 존재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본 논문은 15세기 기사문학의 정수로 평가받는 말로리의 『아서 왕의 죽음』에 그려진 랜슬롯 경과 귀네비어 왕비의 사랑, 트리스트람 경과 이조드의 사랑 이야기를 중심으로 궁정풍 사랑에 대한 중세의 시각을 논해 보고자 한다. 그런 후 과연 이와 같은 사랑이 과연 중세 사회에서 현실적으로 존재했는지 중세의 종교, 사회, 문학적인 실재를 중심으로 설명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Literature of courtly love is one of the literary legacies that represent the medieval romance. Courtly love literature, which focuses on the love story of the Lady (the Lord’s wife) and the knight, has been considered to reflect the elevated social position of women in the patriarchal Medieval society. Some medieval scholars insisted that the cult of the Virgin Mary and the absence of the lords during the Crusades contributed to this elevation. Nevertheless, others still believe that this literary trend is only the dream of medieval people whose real lives became miserable after experiencing the Black Death. This paper studies the real position of the lady in medieval society, focusing on the courtly love of Sir. Lancelot and Queen Guinevere, and Sir Tristram and Queen Isode in Morte d’Arthur.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