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디어융합디자인을 통한 자유학기제 창의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전국 7개 중학교 시범운영사례 적용을 중심으로- (Effects of Creative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a Free Semester Operation through Media-Convergence Design -With Priority Given to Trial Cases from Seven Middle Schools across the Nation-)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7.06
13P 미리보기
미디어융합디자인을 통한 자유학기제 창의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전국 7개 중학교 시범운영사례 적용을 중심으로-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3권 / 2호 / 747 ~ 759페이지
    · 저자명 : 현은령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16년부터 전면 시행된 자유학기제의 성공적 실현을 위해 학교현장에서 활용될 창의진로교육 프로그램을 미디어융합디자인을 통해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창의성과 진로성숙도측면에서 검증하는 것이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OECD에서 제시한‘DeSeCo(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es, 1997)프로젝트’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지적도구 활용 능력 향상, 자기 주도적 행동 향상,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향상’을 중점 핵심역량으로설정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전국 7개 시도의 시범학교 중학생 95명을 대상으로 2015년 2학기동안 적용하여 창의성과 진로성숙도 측면에서 그 변화 추이를 사전 및사후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참여 학생들의 창의성측면 효과성은 TTCT(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도형검사 A, B형을 사용하였고, 진로성숙도 측면 효과성은 진로성숙도검사도구(2006, 한국고용정보원)를 활용하여 진로에 대한 계획성, 태도, 자기지식, 진로행동, 독립성 등의 변화추이를 사전 및 사후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주된 분석기준의 요인은도시규모, 학교규모, 참여유형, 성별 요인 등이다. 이는 자유학기제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도농(都農)간의 진로교육 격차에 대한 논의를 시도하고자 설정한 것이다.
    효과성 분석결과, 창의성측면에서는 참여 중학생의유창성, 독창성, 제목추상성, 정교성, 종결저항 등의모든 창의성 하위척도에서 창의성 수준이 통계적으로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살펴보면, 종결저항영역(t=12.397)이 가장 높은 폭으로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독창성(t=9.003), 정교성(t=7.142) 순이었다. 도시규모측면에서 사후점수평균을 살펴보면 시(29.28), 읍(22.08), 면(20.44) 단위순이었다. 또한 학생 자진참여(32.43)의 사후검사 평균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학교 자체구성(23.00), 교사 및 학부모 추천(13.46) 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창의성지수를 성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여학생의 사후검사 평균(26.76)이 남학생의 사후검사 평균(20.02) 에 비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그 결과를 다시 분석해보면 도시규모와 성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않았지만 시범적용수업에 참여유형, 즉 참여 동기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진로성숙도 측면에서의 효과성은 진로계획 수립의정도, 직업의 의미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 직업정보 및 지식 수집과 같은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의 정도등에서 참여 중학생들은 프로그램 참여 이전과 비교하여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방일수록, 학교규모가 작을수록 진로성숙도 측면이 높게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서 적용된 미디어융합디자인을 통한 자유학기제 창의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전체적으로 창의성과 진로성숙도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특히, 도시규모와 성별과 같은 학생 스스로 선택할 수없는 요인보다는 스스로 수업에 참여하는 동기 요인과 중요한 상관성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점은 자유학기제가 농어촌 및 지방일수록 불리할 것이라는 일각의 우려와 상반되는 결과로서, 자유학기제가 학생들의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만 확보된다면 농산어촌의진로교육에도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reative career education program available for school education through media-convergence design,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on creativity and career maturity. It's basically meant to ensure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 test-free semester program introduced in 2016. The program was theoretically based on the OECD(1997)'s DeSeCo(t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and “using tools interactively,” “acting autonomously” and “interacting in heterogeneous groups” were selected as key competencie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95 students from the selected demonstration schools located in seven municipal or provincial area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5, and a pretest and a posttest were carried out to look for any possible changes in creativity and career maturity. As for its effectiveness on creativity, TTCT(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Figural Forms A and B were used.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on career maturity was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2006)'s Career Maturity Inventory, and a pretest and a posttest also were conducted to see if there were any changes in career planning, attitude, self-knowledge, career behavior and independence. City size, school size, type of participation and gender were selected as the major analysis criteria to discuss career education divide between urban and rural communities, which is pointed out as the biggest problem with the exam-free semester progra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every subfactor of creativity including fluency, originality, title abstractness, elaboration and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To be specific, they made the best progress in the area of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t=12.397), followed by originality (t=9.003) and elaboration(t=7.142). Concerning posttest average scores by city size, the students from urban communities got the highest score (29.28), followed by eup(22.08) and myeon(20.44). Besides, the students who decid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on their own(32.43) got the highest average score in the posttest, and the students who were selected by their schools(23.00) got the second highest score. The students who were recommended by teachers or parents(13.46) got the third highest score. Regarding creativity index by gender, the girls(26.76) got a higher average score in the posttest than the boys(20.02).
    When another analysis was made by controlling the results as a covariable, city size and gender exert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s, but the type of participation, namely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tial.
    As to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on career maturity, the middle school students became better at career planning, awareness of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occupation and acti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uch as collection of occupational information and knowledge after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In particular, the program had better effects on the career maturity of the students from the provinces and from smaller schools.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 creative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a free semester operation, which was developed through media-convergence design, was effective at boosting creativity and career maturity overall.
    Especially, it was closely correlated with the motivation factor, namely whether to decide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for oneself, rather than with the factors that the students couldn't choose like city size or gender.
    As a matter of fact, it's feared that the test-free semester program would be disadvantageous for the students from rural regions and the provinces, but the findings of the study run counter to this idea. The exam-free semester program is expected to bring about positive changes to career education in rural communities as well if quality programs are provided for stud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