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성종 추리소설에 나타난 남성성의 균열과 재건—『제5열』과 『일곱 개의 장미송이』를 중심으로 (The Splitting and Reconstruction of Masculinity in Kim Seong-jong's Mystery Novels —Focusing on The Fifth Column and The Seven Rose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22.06
28P 미리보기
김성종 추리소설에 나타난 남성성의 균열과 재건—『제5열』과 『일곱 개의 장미송이』를 중심으로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89호 / 55 ~ 82페이지
    · 저자명 : 안혜연

    초록

    본 논문은 1970년대 후반~80년대 김성종의 추리소설 『제5열』(1979)과 『일곱 개의 장미송이』(1980)를 대상으로 사회구조의 변동 속에서 추리소설이 ‘남성성의 위기’를 어떤 서사를 통해 극복해 나갔는가를 살피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 시기 남성들이 어떤 방식으로 자신들의 위치를 재조정하면서 남성성을 재건했는지,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균열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한다.
    김성종은 해방 이후 한국 추리소설계를 대표하는 작가이자 이 시기 최고의 베스트셀러 작가이다. 그의 추리소설이 『일간 스포츠』와 같은 남성 독자층을 겨냥한 일간지에 연재되며 인기를 끌었다는 사실은 김성종의 추리서사가 남성 독자들의 욕망을 반영하며 소구력을 발휘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시기 남성성을 어떤 방식으로 규정하고, 재구조화 해나가는지 살필 적합한 텍스트이기도 하다.
    먼저 『제5열』을 중심으로 평범한 가장이 강인한 몸을 가진 민족 영웅으로 거듭나는 과정을 살폈다. 그 과정에서 훼손된 신체를 가지고 있거나 여성화된 남성들, 여성들은 민족에서 배제되거나 타자화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남성 간 연대를 통해 민족을 구성하고 ‘효’와 같은 전통적인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를 소환하여 남성성을 공인하고 있음을 논했다. 마지막으로 『일곱 개의 장미송이』를 중심으로 1980년대 달라진 남성성 담론 속에서 가부장이 남성성을 확보하는 방식을 살폈다. 남편의 복수극을 다룬 이 소설에서 아내는 남편의 폭력적인 복수를 합리화 해주면서 남성이 진정한 가부장으로 거듭나게 만드는 계기로만 활용되고 있음을 밝혔다.
    1970년대 후반~80년대 김성종의 추리소설은 사회가 제기한 ‘남성성의 위기’를 극복하는 다양한 서사들을 보여준다. 1970년대에는 민족 영웅의 형상과 민족됨을 통해, 1980년대에는 가정을 위기에서 구하는 강한 아버지의 형상을 통해 남성성을 재건한다. 그러나 이는 남성적이지 않은 모든 것들의 객체화, 타자화를 통해서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므로 언제든지 허물어 질 수 있는 유약한 경계를 가지고 있음을 논하였다. 특히 여성을 서사에서 배제하며 남성성 재건의 도구로만 활용하는 이 시기 추리소설의 특징은 현재에도 반복되고 대중서사라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Fifth Column(1979) and The Seven Roses(1980) of Kim Seong-jong's mystery novel. Through analyzing these novels, I tried to explain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overcomes the 'crisis of masculinity' raised along with the violent social changes from the late 1970s to the 1980s. It also explains how the mystery novels of this period reconstructed masculinity and what cracks were uncovered in the process.
    Kim Seong-jong is the best-selling author of Korean mystery novels. It is essential that his mystery novels became popular as they were serialized in sports newspapers for male readers. This means that Kim Seong-jong's mystery novels reflect the desires and fantasies of male readers. Therefore, Kim Seong-jong's mystery novels are very appropriate texts to explain the masculinity of this period. Nevertheless, his novels have been rarely studied and treated as pulp fiction.
    First, analyzed the process of an ordinary patriarch becoming a national hero with a ‘Hard body’ focusing on The Fifth Column. Also, argued that the nation was constituted through ‘Homo sociality’, and that masculinity was recognized through traditional patriarchal ideologies such as 'filial piety.' Lastly, focusing on The Seven Roses, I looked into how the patriarch secures masculinity in the discourse of masculinity that changed in the 1980s. In this novel about the husband's revenge, I explained that the wife is being used only to rationalize the husband's violent revenge and make him a real patriarch.
    Kim Seong-jong's mystery novels in the late 1970s and 1980s show various narratives of overcoming the 'crisis of masculinity' raised by society. His novels reconstruct masculinity in the 1970s through the national hero and in the 1980s through the image of a strong father who saves the family from the crisis. However, since this can only be constructed through objectification and otherization of all non-masculine things, it has a fragile boundary that can be broken down at any time. In particular, the discussion of narratives that exclude women or use them as tools for rebuilding masculinit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still a central popular narrative that is repe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1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9 오후